#아우구스투스 문학
-
역사 기타
고대부터 권력 뒷받침한 기둥 '국정홍보'
기원전 30년부터 기원전 14년의 기간은 라틴어 문학의 황금기였다. 로마 시대를 대표하는 주요 문학 작품이 이때 쏟아졌다. 수많은 시(詩)가 프린켑스(원수)였던 아우구스투스의 후원을 자양분 삼아 꽃을 피웠다. 아우구스투스의 친구였던 가이우스 킬니우스 마이케나스(Gaius Cilnius Maecenas)는 당대의 문인들을 후원하는 로마 권력자의 통로였다. 그리고 오늘날까지 마이케나스의 이름은 예술과 학문에 대한 후원을 의미하는 ‘메세나(Mecenat)’라는 단어를 통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서구 문학사에서 ‘아우구스투스 문학(Augustan literature)’이라고도 불리는 이 시기의 작품들은 라틴어 문학의 황금기로 평가된다. 당대의 유명 시인 베르길리우스와 호라티우스, 엘레지(悲歌) 작가 티불루스, 프로페르티우스와 오비디우스는 모두 아우구스투스 혹은 마이케나스의 후원을 받으며 아우구스투스의 이미지를 조성하는데 동원됐다.이들 문인은 ‘존엄한 자’라는 뜻을 지닌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처럼 절대 권력자의 업적과 덕성이 문학 작품의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하는 데 공을 들였다. 그들은 위대한 지도자에 대한 상(像)을 만들어 나갔다. 시인들은 아우구스투스가 듣기를 원하는 데로 로마의 역사를 읊었다. 시인의 언어는 곧바로 권력자의 언어였다.기원전 19년경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베르길리우스는 대표작 ‘아이네이스’에서 건국의 영웅 아이네아스라는 인물을 통해 이상적인 지도자(프린켑스)의 이미지를 도출했다. 신화 속 인물이었던 아이네이아스와 카이사르,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사이의 연관성은 지속해서 암시됐다. 베르길리우스는 독자들에게 그의 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