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탐구활동의 두 축, 독창성과 합리성

    고등학교 생활에서 탐구활동은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 주도적 탐구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탐구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독창성을 발휘하는 것입니다. 탐구는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자기만의 관점을 수립해나가는 일입니다. 따라서 독창적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나만의 고유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기존의 연구나 해결책과는 차별화한 방식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것이 탐구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탐구활동은 생활기록부를 보다 풍부하게 채우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탐구활동을 통해 자신만의 연구 결과를 얻는다면, 생활기록부에 아주 의미 있는 성과를 남길 수 있게 됩니다.이때 주의할 점은 독창성을 강조한 나머지 탐구 내용이 지나치게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탐구활동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므로 이런 태도가 바탕에 깔려 있어야 합니다. 탐구활동에 편향된 의견이나 관점이 반영되면 과도하게 주관적이거나 비논리적인 결론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탐구 과정에서는 독창성을 발휘하되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탐구활동에서 객관성을 유지하려면 일정한 기준을 정해야 합니다. 그런 기준이 없다면 탐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변수를 제대로 분석하거나 통제할 수 없습니다. 단,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해 결론을 끌어낼 수 있는 기준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실험을 거쳐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론을 검증하거나 객관적인 조사 자료를 비교해 신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왕도 없는 토론과 논술, 좀 더 잘할 수 있는 비법은?

    자신의 생각과 다른 글을 끝까지 잘 읽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식자와 석학의 진중한 설명이나 강좌라도 본인 판단과 다른 주장에 차분히 귀 기울이는 것 역시 쉽지 않다. 언필칭 열린 마음, 객관적 수용 자세, 상대에 대한 존중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사람에게는 누구나 편향성이 있다.한국처럼 이성적 토론,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담론 체계, 개방적 대화가 부족한 극단적 대립의 사회에서는 더욱 아쉬운 대목이다. 진영 논리에 따른 일방적 주장이 넘쳐나고 협상과 협의, 절충과 타협을 죄악시하고 백안시하는 대립 풍조에서는 더욱 그렇다.같은 맥락에서 한국 사회처럼 갈등 사안, 대립 어젠다가 많은 곳도 보기 어렵다. 매사 진영 논리가 크게 작용하다 보니 대개 기준은 우리 편과 네 편, 나에게 이롭냐 저쪽에 유리하냐에 따른 논쟁 같지도 않은 저급한 말싸움 천지다. 이런 퇴행은 쉽게 변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수준 낮은 논쟁장에서, 철 지난 이념이 난립하는 퇴행적 이념의 전쟁터에서 흔들리지 않고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어떤 나침판을 들고 어느 등대를 보면서 삶의 거친 바다를 항해할 것인가. 이는 비단 학생들과 사회 진출을 도모하는 청년들만의 고민이 아니다. 넘치는 갈등과 대립 현안…가치와 관점 정립에 필요한 '4가지 요체'좋은 토론과 논쟁을 하거나, 빼어난 논술과 논문을 쓰는 데 왕도는 없다. 이상적인 주장의 말과 글로 자기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가장 적확하게 표현하고 상대를 설득하는 일은 더없이 중요하지만 노력 없이는 쉬운 일이 아니다. 생각의 깊이를 더하며 글이든 말이든 좋은 토론을 하고, 지식을 쌓아가며 논리력을 키우는 것은 성인이 된 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