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한자어 '백(白)'이 만들어낸 우리말 가지들 (2)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철저히 실패했다. 그 원인이 이번 회고록에서 백일하에 드러났다.”지난달 나온 전직 대통령의 회고록이 일파만파 논란을 일으켰다. 우리 관심은 이 문장에 쓰인 ‘백일하’라는 말에 있다. ‘백일하(白日下)’는 주로 ‘백일하에~’ 꼴로 쓰여 ‘온 세상 사람들이 다 알도록 뚜렷하게’란 뜻을 나타낸다.‘백주(白晝), 백일(白日)’은 곧 ‘대낮’‘백(白)’은 다양한 의미로 우리말 곳곳에 자리 잡아 풍성한 단어군을 이루는 데 기여한다. 한자 白은 어원적으로 촛불을 그린 것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그래서 본래 ‘밝다, 빛나다’란 뜻을 갖고 있다. 이런 의미가 담긴 말이 ‘백일(白日)’이다. ‘환히 밝은 낮’을 나타낸다. 순우리말로는 ‘대낮’ 또는 ‘한낮’이다.‘백일’은 요즘 단독으로 잘 쓰이지 않지만 ‘청천백일(靑天白日)’에서 그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다. ‘하늘이 맑게 갠 대낮’을 가리키는 말이다. 또 ‘백일하’에도 그 쓰임이 남아 있다. ‘아래 하(下)’와 어울려 밝은 대낮 아래, 즉 ‘온 세상이 다 알도록 분명하게’란 뜻으로 확장됐다.최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와 관련해 항간에 “백주대낮에 쓰레기 더미와 삐라가 떨어지고 있다”는 말이 나왔다. 이때의 ‘백주(白晝)’도 ‘백일’과 같은 말이다. 원래 “백주에 대로(大路)에서 끔찍한 사건이 터졌다”처럼 쓰이는 이 말은 순우리말로 하면 ‘대낮에 큰길에서~’가 된다. 이를 줄여 “백주대로에서~”처럼 쓰기도 한다. 그런데 이 말을 착각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