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막연한 듯 통하는 듯한 말 '거시기'
“글쎄요. 제가 뭐라고 얘기할 수 있겠습니까. 아무튼 좀 ‘거시기’하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총선 공천을 둘러싼 정치권 갈등이 커지던 지난달 ‘정치 9단’으로 불리는 이가 한 방송에서 한 촌평이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거시기’다. 우리말에서 콕 집어 말하지 않아도 말하는 이나 듣는 이가 서로 알아듣는 말이 있다. 대표적인 게 ‘거시기’다.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데도 대충 뜻이 통하니 마법의 말이라 할 만하다.호남 사투리가 널리 쓰여 표준어가 돼우리말에는 모호하지만 그런 대로 뜻이 통하는 말이 꽤 있다. 지난호에서 살핀 ‘최근’을 비롯해 ‘거시기, 눈높이, 적당히, 1년째, 주말/주초, 반나절’ 따위가 그런 범주에 드는 말들이다. “여그 거시기는 한마디로 머시기할 때꺼정 거시기한다!” 오래전 영화 <황산벌>에서 백제 진영을 염탐하던 신라군은 ‘거시기’가 암호인 줄 알았다. 당황한 신라군은 암호 전문가까지 불렀지만 도저히 풀지 못했다. 호남 방언이던 이 말은 <표준국어대사전>(1999)에 등재되면서 비로소 표준어 대접을 받게 됐다.하지만 일상에선 널리 쓰여도, 신문에선 여간해서 보기 어렵다. 기피어이기 때문이다. 막연한 의미를 담은 말이라 그렇다. ‘거시기’는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람 또는 사물을 가리킨다. “우리 동창, 거시기 말이야. 키 크고 늘 웃던 친구.” 이때 쓰인 ‘거시기’는 대명사다. 군소리로 쓰일 때는 감탄사다. “저기, 거시기, 길 좀 물어봅시다.” 이때의 ‘저기’나 ‘거시기’, 이런 게 군소리이고 군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