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하필 남포에서 이별할까
-
교양 기타
왜 하필 남포(南浦)에서 이별할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임을 보내며(送人)정지상비 개인 긴 둑에 풀빛 짙은데남포에서 임 보내며 슬픈 노래 부르네.대동강 물은 어느 때나 마를꼬,이별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 보태거니.* 정지상(鄭知常, ?~1135) : 고려 시인고려시대 최고 서정 시인으로 꼽히는 정지상의 절창입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시재(詩才)가 뛰어나서 5세도 되기 전에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지요. 강 위에 떠 있는 해오라기를 보고 “어느 누가 붓을 집어/ 을(乙) 자를 강물 위에 썼는고”라는 시를 즉석에서 지을 정도였습니다.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이 시에서도 천재적인 감성을 보여줍니다. 제목은 <동문선(東文選)>에 ‘송인(送人)’으로 기록돼 있지만, <대동시선(大東詩選)>에는 ‘대동강(大同江)’이라고도 적혀 있습니다.봄비 그친 강둑 위로 풀빛이 푸르러 오는데 정든 임과 이별하는 가슴은 슬픔으로 미어집니다.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이 강물에 떨어지니 대동강 물인들 마를 날이 있을까요. 참으로 슬프고도 아름다운 시입니다. 대동강 부벽루에 걸린 이 시를 보고 중국 사신들이 모두 탄복했다고 하지요.대동강 하류에도 남포가 있지만…그런데 헤어지는 장소가 왜 하필이면 남포(南浦)일까요? 어떤 사람은 대동강 하구에 있는 남포를 가리킨다고 말합니다. 한때 증남포, 진남포로 불렸던 곳이지요. 하지만 한시를 좀 아는 분들은 빙그레 웃음을 짓습니다. 남포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이후 거의 모든 시인에게 이별을 상징하는 정운(情韻)의 시어로 쓰였기 때문이지요.정민 한양대 교수도 <한시 미학 산책>에서 “남포라는 단어에는 유장한 연원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연원의 끝에 중국 문학사상 가장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