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권토중래'라는 말의 유래가 된 시 [고두현의 아침 시편]

    오강정에 쓰다(題烏江亭)두목승패는 병가도 기약할 수 없는 법수치 견디고 치욕 참는 것이 진정한 남아.강동의 청년 중에는 호걸이 많아권토중래했다면 결과를 알 수 없었거늘.* 두목(杜牧, 803~852) : 당나라 시인당나라 시인 두목의 ‘오강정에 쓰다(題烏江亭, 제오강정)’ 마지막 구절입니다. 이 시에서 ‘권토중래(捲土重來)’라는 고사성어가 나왔지요.31세에 스스로 마감한 풍운의 삶오강(烏江)은 항우(項羽)가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수세에 몰렸다가 가까스로 도망친 뒤 목을 베어 자결한 장소입니다. 항우가 유방(劉邦)과의 싸움에서 패해 이곳까지 쫓겼을 때, 포위망을 뚫고 그와 함께 살아남은 부하는 고작 28명뿐이었습니다. 뒤에서는 유방의 대군이 추격해 오고 있었죠.그 상황에서 오강의 정장(지금의 면장)이 “어서 배에 올라 강동(江東)으로 가서 재기를 꿈꾸시라”고 재촉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8년 전 강동의 8000여 자제와 함께 떠난 내가 지금 혼자 무슨 면목으로 강을 건너 그 부모들을 볼 수 있단 말인가”라고 한탄하며 31세의 파란만장한 삶을 마감했습니다. 기원전 202년의 일이었지요.항우가 죽은 지 1000년 뒤에 이곳을 찾은 당나라 시인 두목(杜牧)은 여관에 짐을 풀고 그를 생각하며 깊은 상념에 잠겼습니다. 단순하고 격한 성격에 산을 뽑고도 남을 힘을 지닌 장사, 사면초가 속에서 사랑하는 여인 우미인(虞美人)과 헤어질 때 보여준 인간적인 면모의 풍운아…….“천하를 휘어잡던 영웅이 한때의 부끄러움을 참고 재기를 꿈꿨다면, 그곳엔 훌륭한 인재가 많으므로 권토중래할 기회가 있었을 텐데, 그는 왜 그렇게 하지 않고 젊은 나이에 생을 등졌단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