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드플레이션
-
키워드 시사경제
기업의 탐욕이 물가상승 유발? 꼭 그럴까요
먹거리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이른바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 논쟁이 일고 있다. 그리드플레이션은 탐욕(greed)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이다. 기업의 과도한 이윤 추구가 물가상승을 초래한다는 뜻의 신조어다. 식품업체가 원자재 가격이 올라갈 때는 즉각 이를 전가하지만, 원자재 가격이 내려갈 때는 훨씬 느린 속도로 반영한다는 것이다. 식품업계 “영업이익률 한 자릿수 불과” 항변천정부지로 치솟던 주요 식품 원료의 가격은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빵, 과자, 라면 등의 주원료인 밀 가격은 이달 들어 부셸당 평균 5.69달러를 기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가격이 치솟았던 작년 5월(11.46달러)에 비해 50.3% 하락했다. 같은 기간 팜유(-41.8%) 옥수수(-39.4%) 대두유(-38.3%) 등의 국제 시세도 크게 떨어졌다. 원자재 가격이 내려가고 있지만 소비자가 체감하는 먹거리 물가상승 폭은 여전히 높다. 올 1~10월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는 1년 전에 비해 각각 7.6%, 6.4% 상승했다. 이렇게 되자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그리드플레이션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의심의 단초는 대형 식품업체들의 실적 호조다. 올 상반기 농심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04.5% 늘었다. 빙그레(160.3%), 해태제과(75.5%), 풀무원(33.2%), 동원F&B(29.7%), 오뚜기(21.7%) 등도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성명에서 “원재료가 하락한 상황에서도 국민의 고통을 멀리하고 기업들 자신의 이익만을 채우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식품업계는 “그리드플레이션이라는 용어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반박한다. 식품업의 수익성 자체가 낮다는 점을 근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