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다시 '독립신문 창간정신'을 새기는 까닭은 …

    “우리신문이 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 샹하귀쳔이 다보게 홈이라. 또 국문을 이러케 귀졀을 떼여 쓴즉 아모라도 이신문 보기가 쉽고 신문속에 잇난 말을 자세이 알어 보게 함이라.”(독립신문의 창간사설 중) 임오군란(1882) 갑신정변(1884) 을미사변(1895) 아관파천(1896)…. 열강의 각축으로 조선왕조의 운명이 백척간두에 서 있던 구한말. 1896년 4월 7일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 ‘독립신문’이 탄생했다.쉬운 글말 쓰기…독자중심주의 표방독립신문은 한국 언론사(史)뿐만 아니라 국어사적으로도 획기적인 이정표를 세웠다. 창간사설에서 신문 최초로 한글 전용(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과 띄어쓰기(귀졀을 떼여 쓴즉) 도입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상하귀천이 다 보게’ 하고 ‘아무라도 신문 보기가 쉽고 말을 알아보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라는, 신문의 글쓰기 원리를 생각할 때 지금 다시 봐도 무릎을 치게 하는 선구자적 혜안이다. 후대 언론인들은 그 정신을 이어받아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삼아 매년 기념하고 있다.하지만 신문언어의 현실은 사뭇 다르다. 신문의 글은 여전히 공급자 위주이고 독자 눈높이에 맞추지 못한다. 자동제세동기, 이주배경인, 그린택소노미, 알이백, 성인지감수성, 사보임, 촉법소년….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몇 가지만 나열해도 신문언어가 얼마나 일상의 말에서 동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다.한동안 ‘자동제세동기’란 말을 자주 접했다. 5~6년 전쯤 지하철역 등 다중 이용시설에 배치돼 화제가 됐다. 자동제세동기(自動除細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