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윤상
-
경제 기타
온난화 문제 해결 위한 기술…기업 생존전략 됐죠
기후변화와 관련한 지문은 출제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토론형으로 국어에서 나올 수도 있고, 기후 테크와 연결 지어 비문학 지문으로 출제될 가능성도 있죠. 2019년 수능 영어에는 탄소배출권 관련 3점짜리 문제가 출제되기도 했죠. 국어에서라도 기후변화가 기술적인 부분으로 접근하면 다소 생소할 수 있으니 논술 등을 대비해서라도 꼭 읽어볼 주제입니다.지난해 여름은 기록적 폭염이 이어졌습니다. 이런 극단적인 날씨는 더 이상 놀랍지 않게 됐습니다. 세계경제포럼이 발표한 2025년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전문가들이 꼽은 두 번째로 큰 위험이 바로 ‘기상이변’이었습니다. 이는 곧 기후변화가 경제·사회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뜻입니다.이러한 배경에서 주목받는 것이 바로 ‘기후테크’입니다. 기후테크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지구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는 모든 기술을 아우르는 용어입니다. 기후테크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글로벌 과제일 뿐 아니라 기업의 생존 전략이 되었어요. 전기차, 수소 환원 제철, 탄소 포집 기술(CCUS) 등이 대표적 예입니다. 탄소 포집은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모으는 기술입니다. 아직까진 기술의 한계로 생산비용이 높아요.우리나라는 기후테크 특허 출원 건수에서 세계 3위를 기록할 만큼 양적으로는 이미 강국입니다. 특히 삼성, LG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2차 전지, 전기차,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죠. 실제로 미국 특허청에 등록된 기후테크 특허 중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대 후반 기준 약 8%까지 상승했습니다.기후테크가 가장 많이 발전한 곳은 모빌리티 분야입니다. 운송
-
경제 기타
자율주행차는 세상을 어떻게 바꿔 놓을까요?
수능에서는 신기술과 관련한 내용이 심심찮게 등장합니다. 기술 구현 방식을 설명하거나 기술 종류를 분류하는 등의 지문이 나오기도 합니다. 사전 지식이 없다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 많습니다. 자율주행 기술 관련 지문은 아직 수능이나 모의고사에 등장한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 미래를 바꾸는 기술인 만큼 출제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자율주행 기술의 원리자율주행 기술은 무엇이고 어떻게 구현되는 걸까요. 자율주행은 인간이 개입하지 않고 자동차 등 모빌리티가 스스로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자율주행 기술은 크게 3단계로 나뉘어요. 인지, 판단 그리고 제어입니다.인지 단계에서는 운전자가 눈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인식하듯이 자율주행차에 장착된 외부 인식장치들이 사물과의 거리나 사물의 모양 등을 파악합니다. 라이다(LiDAR)라고 불리는 센서 장치와 차량용 카메라, 초음파 센서 등이 쓰입니다. 이 중 라이다가 핵심적인 부품인데요. 라이다는 레이저 펄스를 발사해 그 빛이 주위의 대상 물체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것을 다시 받습니다. 차량과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주변 환경을 그려내기 위해서죠. 마이크로파 수준의 전자기파를 쏘는 레이더와는 다른 장치입니다.두 번째 판단 단계에서는 외부 인식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차량 내부 시스템이 분석합니다. 판단할 때는 인공지능(AI) 기술이 활용됩니다. 딥러닝 등을 통해 수집된 기존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리기 때문이죠. 자율주행차가 전자제품인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마지막 제어 단계에서는 단계에 맞게 시스템이 내린 판단에 따라 엑셀, 브레이크, 핸들 등 자동차의 각 제어장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