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여성 인권 침해와 문화 상대주의의 한계

    우리는 통합사회 과목에서 문화 상대주의에 대해 배운다. 문화 상대주의란 개별 문화의 맥락을 고려해 이해하려는 태도를 말한다. 그 바탕에는 문화에 우열은 없으며 모든 문화는 존중받아야 한다는 전제가 있다. 그러나 문화 상대주의의 한계를 고민케 하는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히잡 반대’에서 시작된 이란의 반정부 시위가 석 달 넘게 지속되고 있다. 작년 9월 한 20대 여성이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도덕경찰에 체포된 뒤 의문사한 사건이 시위를 촉발했다. 이란 정부는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하고 시위 참가자들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다.이란 정부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히잡 착용은 이슬람 율법에 따른 것이다. 이슬람 문화에서 여성들은 히잡으로 머리와 상반신을 가린다. 히잡은 겸손함, 단정함, 정숙함을 상징한다. 이란은 1979년 이슬람 혁명 후 여성의 히잡 착용을 법제화했다. 역시 이슬람 국가인 카타르는 지난해 월드컵을 개최할 때 여성 관광객에게 어깨와 무릎이 드러나지 않는 옷을 입도록 권고해 논란을 일으켰다. 의료상의 목적 없이 여성 생식기 일부를 절제하는 할례와 인도의 명예살인 등 세계 곳곳에는 여성 인권을 침해하는 문화가 존재한다.문화 상대주의 관점에서는 이런 문화 또한 존중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침해하는 문화까지도 문화 상대주의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손예원 생글기자(대구여상 2년)

  • 생글기자

    이란 '反히잡 시위'와 문화 상대주의

    문화 상대주의란 한 문화를 환경과 역사적 맥락을 고려해 이해하고 평가하는 태도를 말한다. 모든 문화는 그 나름의 특성과 배경을 지니고 있어 우열이 없다고 보는 것이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이다. 그러나 최근 이란의 반정부 시위를 계기로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것까지도 문화 상대주의에 따라 존중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지난 9월 이란에서 20대 여성 마흐사 아미니가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도덕경찰에 체포됐다가 사흘 만에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란 도덕경찰은 이슬람 풍속과 관련해 여성의 복장 등을 감시하고 단속하는 기관으로, 체포·구금을 남용해 악명이 높다.이 사건은 이란에서 반정부 시위를 촉발했다. 이란 정부가 시위대를 폭력적으로 진압하면서 지금까지 4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왔다. 이란 반정부 시위는 언론과 SNS를 통해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 참가한 이란 대표팀 선수들은 정부에 항의하는 의미로 국가 제창을 거부했다.이란에서는 1979년 이슬람 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여성의 히잡 착용이 의무화됐다. 아미니처럼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길을 가다가 체포되거나 폭행당하고, 가족으로부터 명예 살인을 당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문화 상대주의를 내세우는 사람들은 히잡 착용 풍습 또한 존중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여성의 자유와 인권을 침해하는 것까지 문화 상대주의로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황윤지 생글기자(성서중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