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산업혁명과 독일의 부상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영국 모방해 산업화…전쟁보상금 덕에 창업 열풍
독일의 약진 원인으론 여러 가지가 꼽힌다. 첫 번째가 ‘후발자의 이점’이다. 일찍이 알렉산더 거셴크론이 독일과 러시아의 산업화 사례를 관찰한 뒤 설파한 것이 ‘후진성 가설’이다. 후진 사회들은 역설적으로 ‘대도약’이 가능했다는 것인데, 앞선 사회의 경험에서 배우거나 선발 사회가 개척한 기술과 지식을 공짜로 또는 값싸게 획득할 수 있어 빠르고 효율적인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었다는 논리다. 독일은 영국 공장을 모방해 자본과 노력, 시간을 줄일 수 있었던 데다 신기술도 자유롭게 적용했다.독일 은행들이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뿐 아니라 기업 설립과 운영, 감독, 혁신의 촉진에까지 밀접하게 관여한 것도 특징이다. 소위 ‘D-은행들’로 불린 다름슈타트방크, 디스콘토게젤샤프트, 도이체방크, 드레스트너방크가 1870~1913년 보유한 자산의 가격은 6억마르크에서 175억마르크로 급증했다. 이는 독일 은행들이 보유한 산업자본 주식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보불 전쟁 후 독일에 유입된 막대한 전쟁보상금 덕에 창업과 투기 열풍이 분 것도 한몫했다. 배상금으로 철도 같은 기반시설 투자가 늘었고, 새로운 제철기술을 활용한 철도를 이용해 시장에 제품을 대량으로 공급하는 게 가능해졌다. 실제 당대인들은 이때를 ‘창업시대’로 부르기도 했다. 여기에 독일 특유의 카르텔(기업 연합) 구조가 효율적으로 작동한 측면도 있다.2차 산업혁명 시기 독일을 대표하는 기업가들의 사례도 이 같은 독일적 발전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소위 ‘대포왕’이라고 불린 알프레드 크루프가 대표적인 경우다.크루프 가문은 16세기부터 에센지역의 유력 가문으로 그의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독일 경제 급부상하며 독일어가 학문 공용어 역할
산업혁명은 영국에서 시작됐지만 철강·전기·화학 기술의 비약적 발전이 이뤄진 ‘2차 산업혁명’은 독일이 주도했다. 19세기 후반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독일 산업의 발전상은 놀라웠다.프로이센이 유럽의 주요 경쟁국들보다 빠르게 성장하게 된 것은 1850~1860년대 이후의 일이다. 1830년대만 해도 프랑스의 국민총생산(GNP)은 1960년 미국 달러로 환산할 때 86억달러로 프로이센(72억달러)을 앞섰지만, 1880년이 되면 프랑스 174억달러, 프로이센 200억달러로 역전된다. 1913년이 되면 프로이센의 GNP는 498억달러로 프랑스(274억달러)의 두 배 규모가 된다. 유럽 전체 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830년에는 프랑스가 21%로 프로이센(5%)의 네 배를 넘었지만 1880년이 되면 프로이센은 20%로 프랑스(13%)를 크게 앞선다. 1913년엔 프로이센이 40%로 프랑스(12%)의 네 배 수준이 돼 처지가 180도 바뀐다. 1860년 비등했던 에너지 소비량도 1913년이 되면 프로이센이 프랑스의 세 배에 달한다.산업별로 살펴봐도 독일의 성장은 가파르다. 19세기 초 프로이센의 연간 철강 생산량은 5만t으로 영국, 프랑스, 러시아뿐 아니라 합스부르크제국에도 못 미쳤다. 하지만 ‘2차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산업지형도는 급격히 변화한다.1871년 프로이센 주도로 독일이 통일된 이후 독일의 철강 생산량은 1890년대만 해도 연간 410만t으로 영국(800만t)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1900년이 되면 630만t으로 영국(500만t)을 추월하게 된다. 1910년대가 되면 독일(1360만t)이 오히려 영국(650만t)의 두 배를 넘는 철을 생산하게 된다.전기, 광학, 화학 같은 20세기적 산업 분야를 개척한 것도 독일이었다. 대표적 전기 관련 기업인 지멘스와 AEG는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