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중심의 의료혁신
-
디지털 이코노미
의료혁신 효율성만 추구해선 곤란…수요자에 초점 둬야
“무덤에는 햇볕이 들지 않는다.” 국민의 행복도가 가장 높다고 알려진 부탄의 철학적 연원을 표현한 문장이다. 확실한 행복감을 느끼려면 하루 다섯 번 죽음을 떠올려야 한다는 믿음이다. 정신건강을 관리하는 앱인 ‘위크록(WeCroak)’은 이에 착안해 사용자에게 하루 다섯 번씩 죽음을 떠올리게 하는 문장을 보내준다.많은 기술기업이 의료 서비스 분야에 뛰어들고 있다. 의료 시스템은 미국과 영국에서도 아직 완성하지 못한 분야로 악명이 높다. 미국은 그 어떤 나라보다 보건 지출 규모가 크지만 미국의 평균 수명은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의료비로 인해 수백만 명의 미국인이 빈곤선 아래로 떨어진 탓이다. 의료비 지출이 소득 불평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영국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영국 적십자는 구급차와 병원에 대한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인도주의의 위기’에 처했음을 고백한 바 있다. 이런 문제 상황에서 실리콘밸리의 3대 거물이 힘을 합친 것은 놀랍지 않다. 제프 베이조스와 워런 버핏, 제이미 다이먼이 2018년 1월 새로운 합작 투자 형태로 의료보험 사업에 뛰어든다고 발표했다. 현재의 의료 시스템은 여력이 있는 이들을 제외하고 아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들은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은 아니더라도 기존 의료 거물에 맞서 적어도 새로운 경쟁자를 만들고 업계 판도를 바꾸고자 의료시장에 진출을 선언했다. 의료혁신의 명과 암이후 많은 기술기업의 진출이 이뤄졌다. 신기술로 무장한 이들의 노력 덕분에 고도로 전문화된 검사이면서 맞춤형 분석이었던 제품들이 더 쉽고 빠르고 저렴하게 제공돼 예전에는 불가능했던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