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길드 회원 자격과 전체 회원수 엄격히 제한…기술 습득 위해 장인 밑에서 숙식하며 청춘 보내

    길드 전체 회원수와 회원권 자격을 주는 것이 엄격히 제한됐다. 특히 동업조합 회원인 장인이 되려면 젊은 청춘은 결혼도 못 한 채 기술 습득에 헌신해야 했다. 장인이 되기 위한 수련 과정을 거치던 도제나 수련공은 소정의 수업 기간 또는 일정한 고용 기간 장인의 집에서 머물며 함께 생활해야 했다.이들 수련공은 결혼하지 않은 독신자 신분이었기에 고용주인 장인의 집에 기거할 수 있었다. 이는 거꾸로 말하자면 하나의 독립된 장인이 되기 전엔 장가갈 수 없고 노총각으로 늙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침식제’라고 불린 이 제도는 업종별, 시대별, 지역별 편차가 있긴 했다. 장인의 집에 기거하지 않고 결혼해 독립된 가정을 꾸리는 수련공이 아예 없는 건 아니었다. 특히 18세기 건축업종에는 결혼해 가정을 이루는 수련공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전통은 다른 한편으론 장인이 그의 집에서 먹고 자는 도제와 수련공에 대해 기술교육이나 작업의 영역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쳐 지시와 통제를 하는 가부장 지위를 지니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단순히 수공업 기술을 가르치고 기량을 연마하도록 하거나, 고용 기회를 주고 노동의 대가를 임금으로 지급하는 수준을 넘어서 일종의 부모 역할까지 했던 것이다. 직업윤리와 명예까지 지도 교육도제와 수련공은 청소년기에 가정과 부모를 떠나 낯선 곳에서 엄격한 장인과 살아야 했다. 장인은 도제와 수련공이 향후 동업조합의 일원으로서 합당한 직업윤리와 신분적 명예, 긍지, 예절, 덕목 등을 갖추도록 모범과 훈계를 통해 지도하고 교육했다. 이 같은 전통적인 도제수업에 대해 경제사가 구스타프 슈몰러는 “노동과 교육, 기술교육과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귀족 특권에 맞선 '수공업자 조합' 길드…정치참여 늘며 시의원 절반 차지하기도

    일찍이 게르만족은 무기 제작과 관련이 깊은 대장간 일처럼 특수한 기예를 갈고닦을 필요가 있는 수공업을 존중했다. 중세시대를 거치면서 금속을 다루는 일 외에도 제빵, 정육업, 목수 등이 별도의 수공업 분야로 등장했고,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이 동업조합(길드·Zunft) 체제로 발전해나갔다. 문헌에 등장하는 동업조합 중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1106년 결성된 보름스 어류상인 단체를 꼽을 수 있다. 전설상으로는 마인츠 방직업자 단체가 1099년 결성됐다고 하지만 역사적 근거가 희박하다. 이어 1128년 결성된 뷔르츠부르크 제화업 단체 등 다양한 단체가 등장한다.초창기 이들 단체는 라틴어로 ‘fraternitas’ ‘consortium’ ‘societas’ ‘unio’ 같은 단어로 불렸고, 훗날 독일어로 된 사료에 따르면 북부독일에선 ‘Gilde’ ‘Amt’ 등이 주로 쓰였다고 한다. 동부독일에선 ‘Zeche’ ‘Einung’ ‘Innung’ 같은 용어로 불렸고, 16세기 이후엔 독일어권 지역에서 ‘Zunft’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됐다. 12세기 동업자 단체 길드 등장길드가 도시국가의 정치 영역에까지 큰 역할을 했던 이탈리아에선 13세기 초까지 대부분 도시에서 30~40개 길드가 활동했다. 베네치아에는 142개 길드가 있었다. 1380년대 크레모나에는 8000명의 길드 조합원이, 볼로냐에는 9000명의 길드 조합원이 활동한 것으로 전해질 정도다.이들은 도시를 장악한 귀족의 폭력에 맞서기 위해 힘을 합쳐 무장하기도 했다. 귀족들의 면세특권을 철폐하고자 조직적 활동도 했다. 무장 조합들은 성인 또는 구역의 이름을 따거나 별, 선원, 말, 사자, 용 등의 문양을 내세웠다. 피렌체에서 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