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은 문화가 아닌 구조의 문제
-
디지털 이코노미
혁신 아이디어, 벤처에선 살고 대기업선 죽는 이유
레이더의 발견은 우연이었다. 미국 해군의 무선통신 과학자인 리오 영과 호이트 테일러가 고주파를 활용한 통신을 실험하던 중 ‘탐지장비’를 발견한 것이다. 하지만 해군은 현실성이 없다는 이유로 개발을 거절,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데만 5년이 걸렸다. 1941년 12월 7일 레이더 조기 경보 시스템은 하와이에서 테스트 중이었고, 그날 일본군의 항공기 353대가 진주만을 기습 공격해 2403명이 전사했다.‘배아 단계’의 아이디어가 묵살된 사례는 비단 레이더뿐만이 아니다. 수륙양용 트럭을 포함한 많은 무기도 마찬가지였다. 혁신 초기의 아이디어는 허점투성이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도 이런 모습이 만연한다. 노키아 직원들이 발견했던 스마트폰과 앱스토어 아이디어는 경영진이 코웃음치며 묻어버렸고, 의학 연구 분야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인 머크 역시 유전공학 기술을 우습게 여겼다가 업계 판도가 바뀌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흔히 기업의 이 같은 실책을 두고 대기업은 보수적이고 리스크를 회피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라고 평가한다. 반면 스타트업은 위험을 기꺼이 감수할 열정이 가득한 사람들이 모인 집단이어서 흥미진진한 아이디어가 많이 나온다고 믿는다. 하지만 대기업에 다니던 직원이 스타트업으로 이직하면 과격한 아이디어를 옹호하고 설득하기 위해 그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변한다. 분명 ‘똑같은’ 사람이 맥락에 따라 보수주의자가 되기도, 혁신가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문화가 아닌 구조의 문제물리학자인 사피 바칼은 그의 책 《룬샷》을 통해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행동 변화를 상전이 현상으로 설명한다. 얼음덩어리 위에 물 한 방울을 떨어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