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어 생글생글
-
시사·교양 기타
지하철 개통 50년
주니어 생글생글 제124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지하철입니다. 올해는 한국에 지하철이 개통한 지 50년이 되는 해입니다. 지하철이 어떤 배경에서 건설됐으며, 대중교통 수단으로 빠르게 자리잡을 수 있었던 이유를 살펴봤습니다. 지하철이 경제에 미친 영향도 알아봤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서는 독일 자동차 회사 폭스바겐과 포르쉐를 창업한 페르디난트 포르쉐의 일대기를 정리했습니다.
-
1+1 마케팅의 비밀
주니어 생글생글 제123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생활 속 마케팅이다. 대형마트와 편의점에 가보면 1+1, 2+1, 무료 시식 등 다양한 판촉 행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때로는 기업이 손해를 보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유통업체들이 매출과 이익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면서까지 제품을 할인해 판매하거나 1+1 등의 행사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봤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의 일대기를 조명했다.
-
시사·교양 기타
신나는 여름방학
주니어 생글생글 제122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여름방학입니다. 피서지에서 바가지요금이 기승을 부리는 이유, 여름 휴가철 해외여행객 증가에 따른 여행수지 적자 등 바캉스와 관련된 경제 이야기를 다뤘습니다. 조선시대 성균관의 휴일 제도와 17~19세기 유럽의 그랜드 투어 등 방학과 휴가의 역사에 대해서도 살펴봤습니다.
-
미리 보는 파리올림픽
주니어 생글생글 제121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2024 파리 올림픽이다. 오는 26일 개막하는 이번 대회는 100년 만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하계 올림픽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파리 올림픽에서 처음 채택된 종목 등 대회 이모저모를 미리 살펴보고 고대 올림픽부터 근대 올림픽에 이르는 올림픽의 역사를 정리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의 주인공은 온라인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세계 최강자 페이커 이상혁이다.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고 게임 세계 챔피언에 오른 이상혁의 이야기를 담았다.
-
시사·교양 기타
미리 보는 파리 올림픽
주니어 생글생글 제121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2024 파리 올림픽입니다. 이달 말부터 파리에서 열리는 제33회 하계올림픽의 특징을 미리 살펴보고, 올림픽의 역사와 이모저모를 담았습니다. 올림픽은 평화와 화합을 위한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지만, 전쟁과 테러로 얼룩진 과거도 소개했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의 주인공은 e스포츠로 인정받는 온라인 게임 종목에서 네 차례 세계 챔피언에 오른 ‘리그 오브 레전드’의 전설, 페이커 이상혁 선수입니다.
-
우리 생활 속 헌법 이야기
주니어 생글생글 제120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대한민국 헌법이다. 헌법은 한 나라의 기초가 되는 최상위 법이다. ‘헌법 기차’를 타고 가며 국민주권,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 복지국가, 시장경제 등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 원리를 알아본다. 학원 심야 수업 금지, 범죄자 신상 공개 등에 대한 헌법소원 사례를 통해 헌법이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설명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서는 세계적 인기 캐릭터 헬로키티를 만든 산리오 창업자 쓰지 신타로 명예회장의 삶을 조명했다.
-
시사·교양 기타
대한민국 헌법의 기본 원리
주니어 생글생글 제120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대한민국 헌법입니다. 헌법은 한 나라의 기초가 되는 최상위 법입니다. 국민주권의 원리, 자유민주주의의 원리, 복지국가의 원리 등 대한민국 헌법에 담긴 기본 정신을 살펴봤습니다. 헌법소원 심판 사례를 통해 헌법이 국민 생활과 매우 밀접하다는 점을 설명했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의 주인공은 세계적인 캐릭터 헬로키티를 만든 산리오의 창업자 츠지 신타로 명예회장입니다.
-
시사·교양 기타
문방구가 점점 줄어드는 이유
주니어 생글생글 제119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우리 동네 문방구가 문 닫은 이유’입니다. 문구점뿐만이 아닙니다. 모든 산업과 기업은 시대 변화에 따라 부침을 겪습니다. 한때 번성했던 산업이 쇠락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어떤 요인들이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아프리카에 맞는 옥수수 품종을 개발해 많은 사람을 굶주림에서 구한 ‘옥수수 박사’ 김순권 한동대 석좌교수의 삶을 조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