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야기
-
교양 기타
예술혼 불태우기 위해 고난을 택한 천재, 고갱을 만나다
《달과 6펜스》는 제목의 의미부터 살펴봐야 하는 작품이다. 달은 지구를 도는 자연위성이고 6펜스는 영국에서 가장 낮은 단위로 유통되었던 은화 값이다. 둥글고 은빛으로 빛나지만 서로 다른 두 세계를 나타내는 상징이다. 달이 상상의 세계나 본원적 감성을 뜻한다면 은화는 돈과 물질의 세계를 대변한다.주인공 찰스 스트릭랜드의 모델이 프랑스 후기인상파 화가 폴 고갱이란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다만 소설 속 스트릭랜드의 여정은 고갱의 실제 삶보다 훨씬 단순하고 극적이며 신비스럽게 펼쳐진다. 6펜스가 대변하는 소시민의 일상을 던져버리고 천재성 발현을 위해 스스로를 극한으로 몰고 가는 달의 삶은 많은 사람의 로망이기도 하다. 소설을 다 읽은 후 고갱의 삶을 추적해 어떤 면이 비슷하고 어떤 면이 다른지, 비교하다 보면 소설 작법도 익힐 수 있을 것이다.서머싯 몸은 1904년 파리에 머물면서 화가들과 어울린 적이 있다. 폴 고갱이 5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이듬해였다. 몸은 1916년 타히티를 비롯한 남태평양 섬들을 여행하면서 고갱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고, 1919년에 《달과 6펜스》를 발표했다. 이 소설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고갱의 신비함이 더욱 부각됐고, 서머싯 몸이 4년 전에 발표한 《인간의 굴레》도 재평가를 받았다. 그리지 않고는 못 배기겠소《달과 6펜스》의 화자는 주인공 찰스 스트릭랜드를 직접 만나기도 하지만 못 만난 기간은 행적을 추적해 기술한다. 성실한 생활인들이 이해하기 힘든 스트릭랜드의 행동에 대해 화자는 천재적인 예술가라는 점을 강조하며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하겠다’는 식으로 넘어가곤 한다. 그런 면이 독자들에게 일상
-
교양 기타
조선시대로 날아가 외모 콤플렉스를 던져버리다
중학교 3학년 강체리는 ‘길고 가느다란 외까풀 눈, 동글납작한 코, 통통하고 발그레한 볼, 작아서 답답해 보이는 입술’을 볼 때마다 자신감이 떨어진다. 내세울 거라고는 맑고 흰 피부뿐인 체리에게 친구들이 붙여준 별명은 오조미. “신윤복 <미인도>에서 ‘갑툭튀’한 것 같지 않니? 조선 시대에 태어났으면 최고 미녀였을 걸!”이라며 ‘오리지널 조선시대 미녀’ 딱지를 붙인 것이다.‘초긍정녀’를 자처하는 체리는 ‘본판마저 망치고 후유증에 시달리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에 성형수술 대신 유튜브에서 성형 메이크업을 익힌다. 일취월장한 실력으로 자신도 꾸미고 친구들도 치장해주지만 ‘촌발’날리는 자신의 얼굴을 보며 중얼거린다. “조선 시대라면 먹힐 미모인데, 차라리 조선 시대로 가버렸으면.”순간 블랙홀처럼 캄캄한 미로 속으로 휙 빨려 들어간 체리는 진짜 조선 시대로 와버렸다. 체리에게 “너 스스로 조선에 오고 싶어 해서 왔다”고 말하는 도무녀는 “막중한 임무가 있어 조선 시대로 왔으며, 임무를 완수하면 1년 후 미래국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선언한다.체리의 임무는 효림대군의 동생 효연공주를 치유하는 것이다. 외모 콤플렉스로 절망에 빠진 공주마마를 치유시킬 방도를 궁리하는 내내 한숨만 내쉰다. 스마트폰도 컴퓨터도 지하철도 수세식 화장실도 라면도 피자도 없는 조선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 고민이 깊지만 “선녀처럼 곱다, 절세가인이다”라는 칭송에 체리는 점차 조선에 스며들게 된다. 조선 최고의 미모 덕에 꽃미남 효림대군의 관심을 받게 된 것도 두근거리는 일이다.체리는 연구를
-
교양 기타
세 살 아이가 바라보는 흥미롭지만 위험한 세상
1967년 일본 고베에서 태어난 벨기에 작가 아멜리 노통브는 프랑스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글로벌 시대에 걸맞은 행보를 보이는 건 외교관 아버지 덕분이다. 아멜리 노통브는 아버지의 임지인 일본, 중국, 미국, 방글라데시, 보르네오, 라오스 등지를 돌아다니며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냈다.작가들의 작품에는 자신들의 경험이 어떤 형태로든 녹아들기 마련이다. 2000년에 발표한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의 화자는 세 살짜리 어린아이이며 작품의 무대는 일본이다. 자신이 태어난 일본을 아름답게 묘사하면서 ‘나는 일본 사람이었다. 두 살 반에, 간사이 지방에서, 일본인이라는 것은 아름다움과 경배 속에서 사는 것을 뜻했다’라고 표현했다.이 소설의 첫 장에 기록된 ‘태초에 아무것도 없었다’ ‘신은 절대적인 만족이었다’는 문장에서부터 독자는 다양한 상상을 하게 된다. 아멜리 노통브의 소설은 46개의 언어로 번역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데, 그 이유는 ‘독창적인 비유와 상징으로 가득한 신랄하고도 빈틈없는 문체, 인간 내면을 한없이 파고드는 과감한 주제 선택’ 때문이다. 화이트 초콜릿을 먹고 깨어나다첫 장부터 비유와 상징을 떠올리게 만드는 이 소설의 주인공은 태어나서 삼키고 소화시키고 배설만 해 파이프라는 이름을 얻는다. 울지도 움직이지도 않고 소리도 내지 않아 의사가 식물인간으로 판정한 파이프는 두 살이 되면서 고래고래 소리 질러 부모를 당황시킨다. 파이프는 가족들처럼 자신도 말하고 싶지만 잘 안되자 더 격하게 노여움을 표출한다. 자신을 막강한 힘을 가진 신이라고 생각하는데 마음대로 되지 않아 분통을 터트린 것이다.파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