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법조인·공직자 꿈에 다가가는 글로벌리더학부

    글로벌리더학부라고 하면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를 공부하는 곳인지 잘 모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먼저 로스쿨 제도에 대해 설명해야 할 것 같습니다. 2008년부터 로스쿨이 도입되면서 로스쿨을 설치한 대학은 학부 과정에 법학 전공 과정을 둘 수 없게 됐습니다. 그렇게 전국에 25개 로스쿨이 설립되면서 25개 법학과가 사라졌습니다. 학과 이름은 바뀌었지만, 과거 법학과의 성격을 계승한 전공을 둔 대학이 여러 곳 있는데요, 성균관대 글로벌리더학부 또한 그중 하나입니다.글로벌리더학부는 크게 법무 트랙과 정책학 트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법무 트랙은 법조인이 되기 위해 로스쿨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선택합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민법의 기초, 헌법의 이해, 범죄와 사회 등이 있습니다.정책학 트랙은 행정고시 등 국가고시를 준비하려는 학생들이 주로 선택합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재정학의 이해, 행정학의 이해, 인적자원 관리의 이해 등이 있습니다. 두 트랙이 완전히 분리돼 있지는 않아서 글로벌리더학부 학생이라면 원하는 트랙의 수업을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습니다.저는 처음에 국가고시를 준비할 생각으로 글로벌리더학부에 입학했지만, 법학 과목에 흥미를 느껴 지금은 로스쿨 진학 쪽으로 마음이 조금 기울어 있습니다. 법학 과목은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정치와 법’보다 훨씬 방대한 분야를 공부합니다. 암기해야 할 내용이 많은 것은 물론이고, 판례를 이해하려면 논리력과 독해력이 필요합니다. 정책학 과목은 사회 이슈를 논리적으로, 또 실무적으로 어떻게 풀어나갈지 깊이 고민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수업을 진행합니다.성균관대 글로벌리더학부에 다

  • 대학 생글이 통신

    '희망 대학'보다 '원하는 학과'에 초점을 맞춰 지원하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12기 생글기자, 성균관대 글로벌리더학부와 컬처엔테크놀로지학부에 재학 중인 18학번 이승현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건강한 수험생활이란 입시로 인해 나 자신이 망가지지 않고, 시련을 통해 나의 존재를 인식하고 성장시키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수험생활을 위해 제가 여러분께 팁을 몇가지 알려 주고자 합니다. 합격만 바라본 지원은 자존감 떨어지고 후회만 남을 거예요첫 번째는 질투 대신 존경하자는 것입니다. 대학입시는 여러분이 겪는 인생 최대의 경쟁일지도 모릅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본인보다 성적이 좋은, 열심히 하는 친구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런 친구들을 때로는 질투한 적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질투는 나 자신을 깎아내리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그 친구보다 못한 점을 찾아서 질투하는 것이 아닌, 그 친구에게 배울 수 있는 점, 자극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찾아 존경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두 번째는 학과 선택의 문제입니다. 저는 여러분이 대학에 지원하면서 가장 고민하는 부분이 바로 ‘학과’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조금 더 높은 대학이지만 희망 진로와 상관없는 과에 지원할 것인지, 혹은 합격 안정선에 있는 대학의 원하는 학과에 지원할 것인지에 대해 밤새워 고민했습니다. 우선 저의 조언(?)을 말씀드리자면, 제 생각은 ‘원하는 학과’에 지원하는 것입니다. 떨어질 것 같은 두려움에 진로와 상관없는 학과를 선택해 지원하면, 자기소개서와 면접 준비 기간에 자존감도 떨어지고 계속 후회만 남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지원한 이후로 합격하기 위해 더욱 간절해지는 마음이 생기기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