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진
-
교양 기타
'세한도 정신'의 유안진 시인 별명은 뜻밖에 '숙맥'
세한도 가는 길유안진서리 덮인 기러기 죽지로그믐밤을 떠돌던 방황도오십령 고개부터는추사체로 뻗친 길이다천명이 일러주는 세한행(歲寒行) 그 길이다누구의 눈물로도 녹지 않는 얼음장 길을닳고 터진 알발로뜨겁게 녹여가라신다매웁고도 아린 향기 자오록한 꽃진 흘려서자욱자욱 붉게붉게 뒤따르게 하라신다.*유안진: 1941년 경북 안동 출생. 1965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달하> <월령가 쑥대머리> <다보탑을 줍다> <거짓말로 참말하기> <둥근 세모꼴> <숙맥 노트> 등 출간. 정지용문학상, 목월문학상, 윤동주문학상 등 수상.‘세한도(歲寒圖·사진)’는 추사가 제주 유배 시절 그린 수묵화입니다. 초라한 토담집 한 채를 사이에 두고 소나무와 잣나무가 두 그루씩 서 있는 겨울 풍경을 묘사했지요. 갈필로 거칠게 붓질한 이 작품에는 겨울에도 시들지 않는 소나무와 잣나무처럼 세월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정신의 품격이 새겨져 있습니다.추사는 그림 발문에 선비의 지조와 의리를 지킨 제자 이상적에게 이 그림을 준다고 밝혔어요. 그러면서 ‘논어’의 한 대목인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추위가 닥친 뒤라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르름을 안다)’를 인용했지요.유안진 시인은 절해고도에 유배된 추사를 떠올리며 스스로 유배자가 되어 자신을 채찍질하는 마음을 시 ‘세한도 가는 길’에 담았습니다. 제목이 ‘세한도 가는 길’인 것은 시인이 가닿고자 하는 곳이 유배의 섬(島)이고, 그 여정이 곧 길(道)이라는 의미겠지요? ‘세한행(歲寒行) 그 길’이라는 표현이 이를 뒷받침합니다.이렇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