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항공우주국
-
커버스토리
민간 우주여행…'뉴 스페이스'가 다가온다
지난달 30일 오후 3시22분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케네디우주센터.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가 유인우주선 크루드래건을 탑재한 팰컨9 로켓을 쏘아 올렸다. 크루드래건은 발사 후 12분 만에 추진 로켓에서 분리된 뒤 약 400㎞ 상공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하는 궤도에 올라섰다. 이후 약 19시간 만에 ISS에 안착했다.민간 기업이 세계 최초로 유인 우주선 발사에 성공한 순간이었다. 스페이스X는 전기자동차업체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2002년 설립한 회사다. 머스크 CEO는 스페이스X를 세운 뒤 달과 화성 여행을 목표로 끊임없는 도전을 이어왔다. 이번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하면서 민간 우주여행이 꿈이 아니라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미국은 과거 옛소련과 경쟁하며 국가 주도로 우주 개발을 이끌어 왔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라는 이름이 인류의 우주 개발 역사를 상징할 정도였다. 하지만 머스크는 스페이스X 창업 4년 뒤인 2006년 NASA와 ISS에 물자를 수송하는 운송 서비스 계약을 맺으면서 우주 개발을 민간 영역으로 끌어들였다.머스크뿐만이 아니다.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의 CEO인 제프 베이조스가 세운 우주탐사기업 블루오리진, 리처드 브랜슨 영국 버진그룹 회장이 설립한 버진갤럭틱 등도 민간 우주 개발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과거 냉전시대에 강대국들의 힘겨루기로 시작된 우주 개발은 이제 정부 주도가 아니라 시장 논리에 따라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진행 중이다. 이들 민간 기업은 냉전시대 정부 주도 탐사를 ‘올드스페이스(old space·낡은 우주)’라고 부르며 스스로를 ‘뉴스페이스’로 차별화하고 있다. 뉴스페이스는 기
-
커버스토리
2022년 달 탐사선 발사 목표…갈길 먼 한국 우주개발
미국의 민간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가 지난달 30일 유인우주선을 쏘아 올리면서 한국의 우주개발 수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주개발 후진국이었던 한국은 지난 30여 년간 빠르게 관련 기술을 발전시켰지만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평가된다. 우주개발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인공위성과 발사체(로켓) 개발, 두 번째는 이를 활용하는 단계, 세 번째는 달과 화성 등 다른 행성으로 진출하는 것이다. 한국은 두 번째 단계에 와 있다.인공위성 제작 운용은 수준급한국 우주개발은 항공우주연구소가 설립된 1980년대부터 시작했다. 우주개발의 서막을 연 것은 ‘우리별 1호’다. 해외 과학자들로부터 전수받은 기술을 토대로 제작한 첫 국산 인공위성 ‘우리별 1호’가 1992년 프랑스에서 발사됐다. 이후 무궁화 1호(1995년), 우리별 3호(1999년), 아리랑 1호(1999년) 등 위성 제작 및 발사가 연달아 이뤄졌다.한국의 위성 개발 및 운용 능력은 수준급으로 평가받는다. 우리별 프로젝트에 참여한 과학자들이 모여 세운 위성제작 전문기업 쎄트렉아이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지난 2월 쏜 천리안 위성 2B호는 세계 최초로 미세먼지 관측 기능을 탑재했다.위성에 비해 발사체(로켓) 기술은 상대적으로 더딘 편이다. 1단 로켓을 러시아로부터 통째로 들여온 나로호(KSLV-1)는 2009년, 2010년 두 번의 발사 실패 후 2013년 처음 성공을 맛봤다. 2018년엔 누리호(KSLV-2) 시험 발사가 이뤄졌다. 내년 2월 첫 발사가 예정된 누리호는 1~3단 로켓 모두 우리 기술로 개발한 최초의 발사체다. 75t급 액체엔진 4개를 묶은 1단, 75t급 액체엔진 1개로 이뤄진 2단, 7t급 액체엔진 1개인 3단으로 구성돼 있다. 약 2조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