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소비는 한정된 예산으로 효용을 극대화 하는 것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은 상품시장을 중심으로 완전한 경쟁상태에 있는 시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설명이었다. 오늘부터 몇 주 동안은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선택의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소비자선택소비자선택이란 소비자가 벌어들인 소득으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르는 과정이다. 소비자들은 자신이 구매한 상품으로부터 얻는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소비활동을 할 것이다. 소비자의 선택 과정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득과 예산 제약, 선호와 효용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예산제약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데 제약을 받는 것은 구매 예산이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살아가는 데 필요한 돈을 마련하기 위해 노동을 하고 소득을 얻는다. 노동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소득이 무한정일 수는 없다. 일부 소비자의 경우 노동소득 외에 이자소득이나 임대소득 등이 추가로 있을 수 있지만 이 또한 무한대일 수는 없을 것이다. 소비자들은 자신이 벌어들인 한정된 소득으로 국가에 세금도 내고 미래를 위해 저축을 하게 되므로 상품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은 한정될 수밖에 없다.소비자가 주어진 예산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의 종류와 수량을 예산집합이라고 하는데, 예산이 많을수록 예산집합은 커진다. 그러나 예산집합은 소비자들이 벌어들인 소득뿐만 아니라 상품 가격에도 영향을 받는다. 상품값이 오르면 같은 예산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은 줄게 되므로 예산집합도 작아진다. 소비자 선호와 효용소비자의 선택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이 예산제약이라면 또 다른 요

  • 테샛 공부합시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해요

    우리는 머리를 정돈하기 위해 미용실을 간다. 하지만 사람마다 각자의 단골이 존재한다. 집이나 직장에서 가까운 곳, 담당하는 헤어디자이너의 실력 등 각자의 기준과 상황에 따라 미용실을 선택하게 된다. 그렇게 선택된 미용실은 꾸준히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단순히 생각해보자. 우리 주변에 흔히 존재하는 미용실은 헤어스타일을 꾸며주는 곳인데 어디에 가든 상관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과연 그럴까? 모든 재화가 완전경쟁시장이라면?모든 미용실이 같은 품질의 서비스와 가격을 제공하게 된다면 사람들은 행복할까? 재화와 서비스의 질이 동일하고 시장에서 설정된 가격을 무수한 수요자와 공급자가 수용하게 되는 시장을 ‘완전경쟁시장’이라고 한다. 보통 경제학에서 시장의 종류를 배울 때 처음 접하게 되는 것이 완전경쟁시장이다. 보통 시장은 공급자의 수에 따라 완전경쟁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독점시장으로 나뉜다. 완전경쟁시장에서는 다수의 공급자가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한다. 재화의 품질뿐만 아니라 판매조건, 기타 서비스 등 모든 것이 동일하다. 따라서 수요자는 특정 공급자를 특별히 선호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시장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수요자와 공급자는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이 그저 받아들이는 가격수용자(price taker)이다. 또한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다. 완전경쟁시장은 경제주체들이 가격 등 시장에 관한 완전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완전경쟁시장은 개개인이 원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만족감은 충족되지 못할 것이다. 인간은 각자 만족하는 품질과 서비스의

  • 시네마노믹스

    상위 1% 백만장자인 장애인과 하위 1% 빈민가 청년…'무차별곡선'은 달라도 우정으로 서로의 핸디캡 극복

    “종이에 코피 쏟아놓고 3만유로라고?”‘상위 1%’ 백만장자이지만 전신마비 장애인인 필립(프랑수아 클루제 분)과 변변한 일자리도 없이 파리 빈민가에 사는 ‘하위 1%’의 드리스(오마 사이 분) 간 소통을 그린 영화 ‘언터처블: 1%의 우정’. 간병인이 된 이후 필립을 따라 처음 가본 미술관에서 드리스가 현대미술 작품을 보고 대뜸 던진 말이다. 드리스의 눈에는 ‘그림 같지도 않은’ 작품 하나가 3만유로(약 4000만원)가 넘는다는 건 쉽사리 납득하기 어려웠다. 상위 1% 자산가는 고가 미술품을 수긍하는데같은 작품을 보고도 필립은 가격에 수긍한 반면 드리스는 깜짝 놀라는 반응을 보였다. 경제학에서는 이를 ‘무차별곡선’으로 설명한다. 무차별곡선은 소비자에게 같은 만족을 주는 재화 묶음을 연결한 곡선을 말한다. 무차별곡선은 소비자가 얼마까지 지출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예산제약선’과 접한다. ‘하위 1%’ 드리스와 ‘상위 1%’ 필립의 반응이 달랐던 것도 미술 작품이라는 재화에 대한 두 사람의 예산제약선이 다른 곳에 있었기 때문이다. 드리스가 필립만큼 돈을 많이 번다면 드리스의 예산제약선도 <그래프>처럼 밖으로 이동 할 것이다.드리스는 미술관에서 본 그림처럼 캔버스에 자신이 원하는 대로 물감을 뿌리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다. 어느 날 필립은 자신의 집을 찾은 친구에게 드리스의 작품을 소개한다. 필립은 이 작품을 신인 유망 화가의 작품이라며 “런던과 베를린에서 전시될 예정이야”라고 말한다. 필립이 부른 가격은 1만1000유로(약 1400만원). 이 말을 들은 필립의 친구는 이렇게 말하며 드리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