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한달 남은 수능, 어려워진다는데…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수험생은 물론 고2·고1 학생들도 긴장하는 계절입니다. 수능의 출제 경향이나 난도(難度)는 1~2년 뒤 수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2년 전 치른 2024학년도 수능은 이른바 ‘역대급 불수능’이었습니다. 고사장 주변에서 들려온 학생들의 한숨 소리가 아직도 귀에 선합니다. 지난해 2025학년도 수능이 다소 평이하게 출제된 것도 같은 이유에서고요. 올해는 어떨까요? 작년 수능의 변별력 약화가 다시 영향을 미쳐 적정한 난이도 유지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보다 다소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합니다.올해는 특히 황금돼지의 해인 2007년에 태어난 수험생이 많습니다. 고3 수험생이 작년보다 약 4만 명 증가했고, 총 응시자는 3만 1504명(6%) 늘었어요. 반면 대학의 신입생 모집 정원은 작년보다 1% 조금 넘게 증가했을 뿐입니다. 수능 변별력 강화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제대로 평가해야 하는 상황이죠.수능 난도가 올라간다면 국어의 경우 비문학 지문에 경제나 경영 관련 내용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거 2020년, 2022년에 경제·경영 지문이 출제된 후 3년 연속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어지는 4·5면에선 수능 과목별 난도 예상, 대입 모집 요강 변화, 남은 기간 학습법, 올해 모의평가의 경제 관련 기출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수능, 9월 모평처럼 변별력 확보에 주력중간 난도 문제 많이 풀고 취약점 해소를"앞서 언급했듯,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도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작년(2025학년도)에 비해 다소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수능을 주관하는 한국교

  • 커버스토리

    국어 1등급, 경제이해력이 갈랐다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영역기축 통화는 국제 거래에 결제 수단으로 통용되고 환율 결정에 기준이 되는 통화이다. 1960년 트리핀 교수는 브레턴우즈 체제에서의 기축 통화인 달러화의 구조적 모순을 지적했다. 한 국가의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입 간 차이인 경상 수지는 수입이 수출을 초과하면 적자이고,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면 흑자이다. 그는 “미국이 경상 수지 적자를 허용하지 않아 국제 유동성 공급이 중단되면 세계 경제는 크게 위축될 것”이라면서도 “반면 적자 상태가 지속돼 달러화가 과잉 공급되면 준비 자산으로서의 신뢰도가 저하되고 고정 환율 제도도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러한 트리핀 딜레마는 국제 유동성 확보와 달러화의 신뢰도 간의 문제이다. 국제 유동성이란 국제적으로 보편적인 통용력을 갖는 지불 수단을 말하는데, ㉠ 금 본위 체제에서는 금이 국제 유동성의 역할을 했으며, 각 국가의 통화 가치는 정해진 양의 금의 가치에 고정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 간 통화의 교환 비율인 환율은 자동적으로 결정되었다. 이후 ㉡ 브레턴우즈 체제에서는 국제 유동성으로 달러화가 추가되어 ‘금 환 본위제’가 되었다. 1944년에 성립된 이 체제는 미국의 중앙은행에 ‘금 태환 조항’에 따라 금 1온스와 35달러를 언제나 맞교환해 주어야 한다는 의무를 지게 했다. 다른 국가들은 달러화에 대한 자국 통화의 가치를 고정했고, 달러화로만 금을 매입할 수 있었다. 환율은 경상 수지의 구조적 불균형이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1% 내에서의 변동만을 허용했다. 이에 따라 기축 통화인 달러화를 제외한 다른 통화들 간 환율인 교차 환율은 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