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160여년간 조선 괴롭힌 왜구 토벌하기 위해 '상왕' 태종 명령으로 대마도 정벌에 나서지만…
불가사의한 일이다. 한 국가가 다른 나라의 해적 집단에 그렇게 오랜 기간 농락당하면서도 해양력을 키우지 않은 역사는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을 것 같다. 조선은 사대교린(事大交隣)을 대외정책 기조로 삼았다. 명(明)나라에 사대(事大)를 취하며, 일본 등 타국과 가깝게 지낸다는 인식이다. 어려운 상황이 도래하면 ‘현실’이라는 명목으로 굴복을 주장하고, 중국적 질서에 충실한 성리학자들로선 최고의 선택이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왜구는 고려 말에 비해 규모는 작아졌지만 해를 바꿔가면서 무려 160여 년 동안 조선을 줄기차게 괴롭혔다.1393년 3월 왜구가 충청도 해안인 보령을 침공해 병선을 탈취했고, 한양 입구인 강화도 교동을 공격했다. 이듬해에는 경상도 일대를 시작으로 전라도와 서해안 곳곳을 침략했다. 이후 매해 침략했다. 1396년 8월 120척이 경상도 해안을, 10월 말에는 부산 동래성을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신정부는 긴장하면서 대응책 마련에 고심했다.왜구의 발호에 조선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었을까? 때마침 온건한 인물인 대마도주(島主)와 타협해 쌀·콩 같은 식량을 지원했다. 또한 항복한 왜구들에게는 벼슬과 성을 주고, 토지와 집도 마련해 ‘항왜(降倭)’ ‘투화왜(投化倭)’들을 만들었다. 국방력, 해군력 증강에도 힘을 기울였다. 1397년에는 해안가 요충지에 진을 설치했다. 태조는 호수에서 항구로 변한 용산강에 가서 전함 진수식에 참석했고, 각 도에 함대사령관에 해당하는 수군 절제사를 임명했다. 이런 정책 덕분인지 왜구들은 한동안 발호하지 않았고, 정부도 긴장을 풀었던 것 같다. 1398년에는 수군을 감소시켰고, 이듬해에는 병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