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키워드 시사경제

    '실험실에서 키운 고기' 미국인 식탁에 오른다

    세포에서 배양한 닭고기가 미국인의 식탁에 오르게 됐다. 미국 농무부는 지난달 21일 배양육 스타트업인 잇저스트와 굿미트가 생산한 세포배양 닭고기의 일반 소비자 대상 판매를 처음으로 승인했다. 이들 제품은 앞서 미국 식품의약국으로부터 식품 안전성 승인도 받았다. 유명 셰프이자 기아 퇴치 운동가인 호세 안드레스(Jose Andres)는 워싱턴DC에 있는 자신의 레스토랑에서 굿미트의 배양육을 판매할 예정이다. 은 “동물을 도축하지 않고 지구 훼손을 줄이면서도 증가하는 육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과학자들과 기업이 개발한 닭고기”라고 소개했다. 배양육 판매를 승인한 국가는 싱가포르에 이어 미국이 두 번째다.美, 배양육 닭고기 소비자 판매 첫 승인배양육은 동물의 줄기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만든 고기다. 근위성세포, 배아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등을 동물 조직에서 분리한 후 세포 수를 늘려 근육의 형태로 만든다.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은 줄기세포는 근육세포로 바뀌면서 고기 형태를 갖추게 된다. 환경과 동물 복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이 늘면서 배양육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150개 이상 기업이 유명 투자자와 기존 육류 대기업으로부터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하고 배양육 개발·생산에 나선 상태다. 국내에서도 스페이스에프, 셀미트, 티센바이오팜 등의 업체가 배양육 시장에 뛰어들었다. 미국 컨설팅 회사 AT커니는 ‘미래 육류 시장 예측 보고서’에서 2040년 배양육이 전체 육류 시장의 2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푸드테크업계 관계자는 “세계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육류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어 이를 따라가려면 기존보다 더 많은 육류를

  • 생글기자

    고기 소비의 대안이 될 배양육 상용화

    “50년 후 우리는 가슴살이나 날개를 먹기 위해 닭을 통째로 기르는 모순에서 벗어나 적절한 매개물로 이 부위들을 각각 기르게 될 것이다. 물론 합성식품도 이용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식품은 자연 생산물과 실질적으로 구별할 수 없을 것이다.” 윈스턴 처칠이 영국 총리가 되기 9년 전인 1931년 월간지 ‘스트랜드 매거진’ 12월호에 기고한 에세이 ‘50년 후(Fifty Years Hence)’의 한 대목이다. 지금으로부터 90년 전 글이다. 윈스턴 처칠은 왜 이 같은 예측을 한 것일까.우리가 5~10㎏의 곡물 사료를 사용해 얻을 수 있는 고기의 양은 500g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곡물로 섭취한다면 20여 명이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양을 단지 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고기를 생산하는 데 소비하는 것이다. 더불어 고기가 되는 가축들은 성장 과정에서 많은 배설물을 발생시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육류 생산 증가는 수천t의 곡물을 소비하고, 환경을 오염시키고, 상대적으로 많은 지구인을 굶주리게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배양육 또는 인공육이다.배양육은 세포공학기술로 살아있는 동물의 세포를 배양해 생산하는 살코기다. 배양육을 형성하는 세포를 성장시키는 것은 1900년대 초부터 생물학자들이 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했던 세포 배양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 과정은 살아있는 동물에게서 채취한 근육 샘플에서 얻을 수 있는 세포, 즉 분화하고 성장할 수 있는 ‘줄기세포’에서 시작한다. 배양액이라고 하는 영양소가 풍부한 원료를 세포에 제공하면 세포는 근육 세포로 바뀌면서 고깃덩어리의 형태가 된다.배양육이 일부 상용화되기는 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