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부어
-
진학 길잡이 기타
자료가 시사하는 바를 정리한 후, 각 입장을 대조하세요
[논제 2번]제시문 <5>가 시사하는 바를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 논제1의 두 입장에 대해 각각 평가하시오. (50점, 600자 내외)[해설]우선 자료가 시사하는 바를 정리한 후, 두 입장과 대조하는 것이 순서입니다. 제시문 <5>에 실려 있던 자료 <10대 공익제보(연도순)>는 여러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공익제보들을 개별적으로 이해해보는 것도 좋지만, 여기서는 사회실재론과 명목론에 대한 비판적 준거자료로서 각 입장과 이 자료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생각해보는 것이 우선입니다. 자료는 ‘한국사회를 변화시킨’ 공익제보였습니다. 즉 개인의 비판적 사고와 준법정신, 시민의식이 사회의 변화를 일궈냈다는 것입니다. 이는 사회실재론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사회실재론에서는 사회가 개인들의 외부에 실재하고 있으며 개인의 생각이나 가치관이 집단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고 봅니다. 그런데 10대 공익제보의 면면을 보면 모두 정부나 기업 등 개인이 항거하기 힘든 규모의 집단이 일으킨 부조리들을 고발한 것입니다. 즉 이 자료를 바탕으로 사회실재론을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평가1 :제시문 <5>가 시사하는 바를 고려할 때 사회실재론은 부당하다.그런데 이를 더 구체적으로 평가해보면 어떨까요? 평가라는 것은 가치를 평하는 것, 즉 이것이 어떤 가치를 갖고 있는지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도 ‘평가’의 사전적 의미를 충실히 살려, 틀에 박히지 않은 여러분의 평가를 내려보세요. 물론 제시문 <5>의 시사점을 바탕에 두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평가를 내려볼 수 있겠습니다.평가2 :제시문 <5>가 시사하는 바를 고려할 때 사회실재
-
진학 길잡이 기타
"주제에 맞게 분류한 후, 각 제시문의 핵심을 요약"
[논제1번]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을 바탕으로 제시문 <1>~제시문 <4>를 상반된 두 입장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입장에 따라 각 제시문을 요약하시오. (50점, 600자 내외)[해설]우선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입장을 분류해야 합니다. 제시문 <1>은 사회학에서도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하는 콩트의 주장을 바탕에 두면서, 사회가 유기체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말합니다. 제시문 <1>만 보았을 때,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은 ‘집단적’인 것에 가까운 것 같네요. 제시문 <2>는 잘 알려진 벤담의 공리주의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행위원리가 사회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는 점에서 제시문 <1>과 상반됩니다.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 무엇인지에 집중해보면, <2>는 사회명목론에 해당합니다.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개인뿐이며 사회는 개인의 집합체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회 윤리나 사회의 의미를 파악할 때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의 특성이나 윤리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선 제시문 <1>은 사회실재론이네요. 이는 사회가 개인의 합 이상의 독립적 실체이며 고유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입장으로, 사회현상을 파악할 때 개인이 아닌 조직이나 집단을 탐구하려 합니다. 콩트는 사회실재론의 대표적인 학자입니다.두 제시문을 분류하였으므로 이제 이 분류의 틀에 다른 제시문들을 맞춰보도록 하지요. 제시문 <3>은 니부어의 《도덕적 개인과 비도덕적 사회》입니다. 그에 따르면 개인의 도덕성과 무관하게 사회집단은 부도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을 탐구한다고 사회를 이해할 수는 없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니부어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사회와 개인은 누가 더 이기적라인홀드 니부어의 명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는 개인 윤리의 한계를 밝히고 사회 윤리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므로써 윤리학사에 큰 획을 그은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책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니부어는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를 극명하게 대비하고 있다. 니부어가 이렇게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를 엄격하게 구별하고 있는 것은 사회 문제에 대한 개인 윤리적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그런데 여기서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라는 책 제목만 보고 ‘인간은 도덕적이고 사회는 비도덕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다. 그가 인간을 ‘도덕적’이라고 표현한 것은 인간이란 어떤 행위를 할 때 비교적 집단적 사회보다는 타인을 배려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이익을 존중할 줄 안다는 점에서 ‘도덕적’이라는 것이다. 이에 반해 ‘사회는 개인보다 훨씬 더 이기적’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사회란 인종, 민족, 계급, 국가 등 개인을 넘어서는 일체의 집단을 뜻한다. 그리하여 개인이 일단 집단이 되면 집단의 이익을 위해 이기적이고 비도덕적인 성향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니부어가 나중에 자신의 책 제목에 대해 말한 대로 ‘비도덕적 인간과 더욱 비도덕적인 사회(Immoral Man and Even More Immoral Society)’라고 붙이는 것이 책 제목으로서 더 적절하지 싶다.개인 윤리와 정치 영역개인과 집단의 도덕적-사회적 행위가 다르다는 니부어의 분석은 집단에는 개인적인 윤리로는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정치 영역이 존재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