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민간 주도 '뉴 스페이스' 흐름, 우리도 변화해야

    테슬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들이 우주산업 투자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일론 머스크가 2002년에 설립한 스페이스X는 재사용 가능한 발사체를 통한 페이로드(위성) 발사 대행, 우주 관광, 위성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 등을 운영한다. 최근엔 ‘인튜이티브 머신즈’라는 기업이 민간 기업 최초로 달 착륙선을 발사해 이목을 끌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 등 국가가 주도해온 ‘올드 스페이스’ 시대가 저물고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해외에선 중소 기업뿐 아니라 벤처 기업들도 우주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뉴 스페이스는 막대한 비용만 들고 실적은 저조하다고 여겨지던 과거와 달리, 발사 비용 감소와 다양한 우주 기반의 플랫폼 등장으로 아이디어와 기술력만 있다면 충분히 도전해볼 만한 영역이 되었다.우리나라의 뉴 스페이스는 아쉽게도 현저히 뒤져 있다. 아직 올드 스페이스에 머문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 대기업은 정부 주도하에 경제개발, 안보 및 국가 위상을 높히는 데 열중하고 있다. 한국판 NASA인 우주항공청(KASA)를 올해 5월에 설립할 예정이며, 2030년쯤엔 정부 주도하에 달 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물론 뉴 스페이스에 발을 들여놓는 기업이 하나둘 생겨나고 있다. 다만 개발 및 발사를 브라질 같은 타지에서 진행하는 등 사업 환경이 열악하기만 하다. 정부 차원에서 대기업뿐 아니라 스타트업에도 투자를 확대함으로써 대한민국 뉴 스페이스 산업이 더욱 성장하길 바란다.김재우 생글기자(보성고 1학년)

  • 커버스토리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우주산업도 G7

    온 국민이 가슴 졸이며 응원한 누리호 발사가 성공했습니다. 누리호는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발사체입니다. 각종 위성을 목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쓰이는 로켓을 발사체라고 합니다. 위성 발사체 누리호는 작년 6월 2차 발사 때는 성능검증 위성을 탑재했습니다. 이번 3차 발사에서는 실용위성(차세대 소형위성 2호)을 목표 궤도인 고도 550㎞에 성공적으로 올려놨습니다. 이 위성은 초속 7.58㎞ 속도로 지구를 하루 약 15바퀴 돌면서 밤낮과 날씨에 관계없이 관측(정찰) 임무를 수행합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자력으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일곱 번째 나라, 즉 ‘우주 강국 G7’이 됐습니다. 2040년 1조1000억달러 규모로 커질 우주산업 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향후 우주산업은 민간 기업이 주도할 전망입니다. 전기차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만든 우주기업 스페이스X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의 블루오리진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북한이 최근 군사정찰위성을 로켓(천리마-1형)에 실어 발사했다가 실패한 사실을 감안하면 누리호의 이번 성공은 안보 측면에서도 큰 성과입니다. 우주를 놓고 그동안 주요 국가가 어떻게 경쟁해왔으며, 우주 활용과 관련한 주요 쟁점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가 우주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관한 경제학적 설명을 이해해봅시다.우리나라 우주산업 선진국들에 뒤져 있지만 우주경쟁에서 또다른 성공 신화 기대 ‘화성에 100만 명이 거주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를 통해 이루려는 목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