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잡
-
생글기자
이란 '反히잡 시위'와 문화 상대주의
문화 상대주의란 한 문화를 환경과 역사적 맥락을 고려해 이해하고 평가하는 태도를 말한다. 모든 문화는 그 나름의 특성과 배경을 지니고 있어 우열이 없다고 보는 것이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이다. 그러나 최근 이란의 반정부 시위를 계기로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것까지도 문화 상대주의에 따라 존중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지난 9월 이란에서 20대 여성 마흐사 아미니가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도덕경찰에 체포됐다가 사흘 만에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란 도덕경찰은 이슬람 풍속과 관련해 여성의 복장 등을 감시하고 단속하는 기관으로, 체포·구금을 남용해 악명이 높다.이 사건은 이란에서 반정부 시위를 촉발했다. 이란 정부가 시위대를 폭력적으로 진압하면서 지금까지 4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왔다. 이란 반정부 시위는 언론과 SNS를 통해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 참가한 이란 대표팀 선수들은 정부에 항의하는 의미로 국가 제창을 거부했다.이란에서는 1979년 이슬람 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여성의 히잡 착용이 의무화됐다. 아미니처럼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길을 가다가 체포되거나 폭행당하고, 가족으로부터 명예 살인을 당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문화 상대주의를 내세우는 사람들은 히잡 착용 풍습 또한 존중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여성의 자유와 인권을 침해하는 것까지 문화 상대주의로 인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황윤지 생글기자(성서중 2학년)
-
히잡 쓰고 운전대 잡은 사우디 여성… 성(性)차별 해소 시동 걸리나
히잡을 쓴 사우디아라비아 여성들이 드디어 운전대를 잡았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여성 운전을 금지했던 사우디 정부는 지난달 24일 밤 12시를 기해 여성 운전을 허용했다. 여성 운전은 사우디 개혁을 주도하고 있는 무함마드 빈살만 알사우드 왕세자의 국가 개조 프로젝트 ‘비전 2030’에 따른 것이다. 2015년부터는 여성이 지방선거에 출마하고, 올해부터는 축구장 입장도 가능해졌다. 이슬람 국가 중에서도 여성 차별이 가장 심한 사우디가 운전을 허용한 것은 석유에 의존하는 경제구조에서 탈피하려는 최근의 움직임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성 운전은 자동차 판매, 보험, 소비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운전은 허용됐지만 사우디의 여성 차별은 여전히 심하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개혁을 보도하면서도 “사우디 여성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