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
교양 기타
'깃발'에 따라 달라지는 전쟁 속의 삶
6·25전쟁이 발발한 지 71년이 되었다. 전쟁을 직접 겪은 분들이 세상을 많이 떠났지만 작품 속의 6·25전쟁은 그 시대의 아픔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성장소설을 써달라는 출판사의 요청으로 1995년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를 낸 박완서 선생은 ‘변화의 속도가 하도 눈부시고 망각의 힘은 막강하여, 정말로 그런 모진 세월이 있었을까, 문득문득 내 기억력이 의심스러워지면서, 이런 일의 부질없음에 마음이 저려 오곤 했던 것도 쓰는 동안 힘들었던 일 중의 하나이다’라고 서문에서 밝혔다. 전쟁으로 회복불능 상태에 빠졌던 최빈국 대한민국이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이 되기까지 수많은 분의 고통과 희생이 있었음을 기록하고 싶었던 듯 작가는 ‘현재의 잘 사는 세상의 기초가 묻힌 부분이기도 하여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펼쳐 보인다’고 부연했다.1992년에 발표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는 1931년에 태어나 19세 때 서울대학교에 입학하는 과정까지를 기록했다면 6·25전쟁 한복판에서 겪은 얘기는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에 고스란히 담았다.소설 속에 ‘분하다 못해 생각할수록 억울한 것은 일사후퇴 때 대구나 부산으로 멀찌가니 피난 가서 정부가 환도할 때까지는 절대 안 움직일 태세로 자리 잡고 사는 이들은, 서울 쭉정이들이 북으로 남으로 끌려다닌 것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자기들의 피난살이 고생만 제일인 줄 알겠거니 싶은 거였다’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주인공과 오빠부부, 두 조카와 어머니는 총상을 입은 오빠 때문에 피난을 가지 못하고 서울에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인민위원회와 향토방위대똑같은 하늘 아래에 가만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다른 사람과의 대조를 통해 드러나는 '나'의 개성
어떤 친구는 마당에 피는 꽃이 백 가지도 넘는다고 해서 부러워했는데 이런 것까지 쳐서 백 가지냐고 기막힌 듯이 물었다. 듣고 보니 내가 그런 자랑을 한 적이 있는 것 같았다. 그러나 거짓말을 한 건 아니다. 그 친구는 아마 기화요초가 어우러진 광경을 상상했었나 보다. 내가 백 가지도 넘는다고 한 것은 복수초 다음으로 피어날 민들레나 제비꽃, 할미꽃까지 다 합친 수효다. 올해는 복수초가 1번이 되었지만 작년까지만 해도 산수유가 1번이었다. 곧 4월이 되면 목련, 매화, 살구, 자두, 앵두, 조팝나무 등이 다투어 꽃을 피우겠지만 그래도 조금씩 날짜를 달리해 순서대로 피면서 그 그늘에 제비꽃이나 민들레, 은방울꽃을 거느린다. … (중략) … 이렇게 그것들을 기다리고 마중하다 보니 내 머릿속에 출석부가 생기게 되고, 출석부란 원래 이름과 함께 번호를 매기게 되어 있는지라 100번이 넘는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름을 모르면 100번이라는 숫자도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들이 순서를 지키지 않고 멋대로 피고 지면 이름이 궁금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내가 출석을 부르지 않아도 그것들은 올 것이다. 그대로 나는 그것들이 올해도 하나도 결석하지 않고 전원 출석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그것들이 뿌리로, 씨로 잠든 땅을 함부로 밟지 못한다. 그것들이 왕성하게 자랄 여름에는 그것들이 목마를까봐 마음 놓고 어디 여행도 못 할 것이다. 그것들은 출석할 때마다 내 가슴을 기쁨으로 뛰놀게 했다. 100식구는 대식구다. 나에게 그것들을 부양할 마당이 있다는 걸 생각만 해도 뿌듯한 행복감을 느낀다. 내가 이렇게 사치를 해도 되는 것일까. 괜히 송구스러울 때도 있다.그것들은 내가 기다리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