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외모지상주의 풍자한 영화의 조용한 돌풍

    배우 데미 무어가 지난 6일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을 받으면서 그가 출연한 영화 ‘서브스턴스’가 주목받고 있다. ‘서브스턴스’는 지난해 칸영화제에서 각본상을 받으며 이미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이 영화를 연출한 코랄리 파르자 감독은 호러 영화의 신성으로 떠올랐다.독립 예술영화로 분류되는 ‘서브스턴스’는 대중성이 높은 작품은 아니지만, 작년 12월 국내에서 개봉한 이후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조용한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에 개봉한 독립 예술영화 중 외화 부문 1위를 달리며 21만 명의 관객을 모았다.‘서브스턴스’는 현대사회의 외모 지상주의를 풍자적으로 그리고 있다. 영화의 주인공은 엘리자베스 스파클이라는 여배우다. 한때 최고 스타였던 그는 50대에 접어들며 인기의 중심에서 멀어진다. 그러던 중 교통사고를 당하고 간호사를 통해 젊은 시절로 돌아갈 수 있는 약물(서브스턴스)을 알게 된다. 젊음을 회복한 그는 다시 인기를 얻는다. 그러나 그의 삶은 점점 더 불안정해지고 예상치 못한 사건에 맞닥뜨린다. 영화는 외모에 집착하는 풍조를 비판하고, 늙음을 혐오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드러낸다.주인공 역을 맡은 무어가 60대 여배우라는 점도 상징적이다. 배우로서 전성기가 지났다고 할 수 있는 나이에 실제 자기 모습과 비슷한 인물을 연기한 셈이다. 무어는 그동안 여러 편의 흥행작에 출연했지만, 골든글로브상은 이번에 처음 받았다. 오는 3월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도 그가 트로피를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이건영 생글기자(대전대신고 1학년)

  • 시네마노믹스

    어제와 같은 얼굴, 그런데 왜 이렇게 달라보이지?…고전경제학에서는 설명 못하는 '매력자본'의 힘

    거울 앞에 선 르네(에이미 슈머 분). 그녀의 눈에 들어온 건 툭 튀어나온 배, 처진 팔뚝 살, 셀룰라이트가 선명한 허벅지다. 그녀는 바지 위로 튀어나온 뱃살을 잡으며 한숨을 쉰다. 그녀는 거울 속의 자신과도 눈을 마주치지 못한다. 결심한 듯 거울을 직시하려 하지만 이내 그녀의 시선은 발밑으로 떨어진다. 매력자본 없어 괴로운 르네영화 ‘아이 필 프리티’ 초반부에 그려진 르네는 자신감이 없다. 매장에서 마음에 드는 옷을 발견해도 사이즈를 묻는 게 두려워 발걸음을 돌린다. 덩치가 커 드세다는 소리를 들을까봐 식당에서도 크게 웨이터를 부르지 못한다. 그녀의 외모에 대한 콤플렉스는 직장 생활로까지 이어진다. 화장품을 좋아하는 그녀가 일하는 곳은 명품 화장품 브랜드인 ‘릴리 르클레어’. 그녀의 꿈은 도심 한복판에 화려하게 장식된 본사에서 일하는 것이지만, 현실은 차이나타운 구석 한편에 마련된 온라인 지부에서의 일상이다. 어느 날 그녀는 본사의 채용 소식을 듣는다. 하지만 주춤거릴 수밖에 없었다. 면접장은 늘씬하고 매력적인 여자들로 가득 찰 것이기 때문이다. 그 틈에 서 있는 모습은 상상만으로도 끔찍했다. 누구나 동경하는 릴리 르클레어 본사에 취업하기 위해선 화려한 스펙은 물론 주목할 만한 외모가 필수조건이었다. 르네는 단념한다.르네는 ‘매력자본’이 없어 손해를 보는 전형적인 사례다. 매력자본은 2010년 캐서린 하킴 런던정경대 교수가 제시한 개념이다. 자본이라 하면 대다수는 돈, 토지, 생산공장 등 경제적 자본을 떠올린다. 자본은 사전적 의미로 새로운 부를 창출하는 생산 수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본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