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다임 전환
-
테샛 공부합시다
한국 경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시급
2007년 스마트폰인 애플의 ‘아이폰’이 등장했습니다. 웹서핑, 동영상 감상, 문서 작업 등 다양한 기능을 지닌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휴대폰 시장의 지형은 크게 바뀌었습니다. 삼성은 개발 능력을 총동원해 갤럭시폰을 내놓으며 애플을 빠르게 추격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1분기 삼성의 스마트폰은 출하량 기준 글로벌 시장점유율 20%로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추격의 역사는 한국 경제의 발전 과정에도 적용됩니다. 선진국을 따라잡자한국이 전쟁의 폐허를 딛고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이 된 요인에는 선진국의 제품이나 기술을 모방해 빠르게 추격하는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전략이 주효했습니다. 당시에는 경제개발을 위한 자본도 부족한 시기였기에 투입 대비 최대한의 효율을 뽑아내야 했습니다.현재 삼성·현대·SK·LG 등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한때는 반도체·철강·석유화학·조선 등 선진국이 선점한 산업 분야에서 그들을 따라잡겠다는 일념으로 동분서주했습니다.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한 기업인과 밤낮없이 일하는 근면 성실함, 높은 교육열 등을 바탕으로 선진국을 빠르게 추격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이 산업들은 세계시장을 휩쓸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 방정식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미래 산업에 뒤처진 한국그 중심에는 중국이 있습니다. 중국도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제품과 기술을 모방하며 빠르게 추격했습니다. 지금은 ‘레드테크’라 불릴 만큼 고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을 능가하는 중국 기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제 한국은 규모의 경제뿐 아니라 기술력에서도 중국에 밀리
-
커버스토리
'효율 지상주의' 벗어나 위기관리로…키워드가 바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중국에서 기승을 부리던 지난 2월 19일. 태평양 건너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가 있는 애플은 “2분기(1~3월) 매출 가이던스(기업이 공개한 예상 실적) 달성이 불가능해졌다”고 선언했다. 아이폰 생산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중국 위탁생산 공장이 줄줄이 ‘셧다운(일시 가동 중단)’됐기 때문이다. 비용과 생산 효율성을 고려해 중국에 생산기지를 몰아넣은 것이 부메랑이 된 것이다. 애플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베트남 태국 등으로 생산기지를 분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유동성 확보 위해 일정 현금 비율 가져간다그동안 기업경영의 절대 가치는 ‘효율성’이었다. 저비용 국가로의 생산기지 집적화(클러스터), 대량 생산, 재고 최소화 등을 통해 ‘비용과 시간을 지배하는 것’이 기업 경영자의 최고 덕목으로 평가됐다. 그랬던 기업 경영이 코로나19 이후 변하고 있다. 중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사슬이 순식간에 붕괴되는 것을 보면서 효율성 이면에 가려진 ‘위험(리스크)’이 부각되면서다.코로나19 시대 기업들은 앞다퉈 현금 비중을 높이고 있다. 영업활동 중단으로 인해 자금이 언제 부족해질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국내 대기업들도 평소에는 쳐다보지 않던 기업어음(CP) 발행 시장을 최근 들어 살펴보기 시작했다. 일부 대기업은 CP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위기 상황에서 기업의 성쇠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인이 ‘현금’이라는 것을 코로나19 쇼크를 통해 기업 경영자들이 몸소 느끼고 있어서다. 박남규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적어도 6개월 이상 버틸 수 있는 현금의 중요성을 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