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학습
-
대학 생글이 통신
'학원? 과외? 독학?' 내게 맞는 선행학습법 중요
중간고사 이후 성적이 가늠되면 혹 불안감이 커지거나, 성취감이 생겼음에도 앞으로 시험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학습 방법을 바꿔볼까 하는 생각이 들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성적에 따라 학습 방법을 과도하게 변화시키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성적보다 여러분이 공부하는 과정 자체에서 느낀 바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공부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본인이 어떤 과목에 취약하고, 어떤 과목에서 선행학습을 해야 하는지 스스로 알게 됩니다. 우선, 과목을 나눠 약점을 보완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여러 번 반복 학습을 요하는 과목이 선행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수학은 풀이를 익히기 위한 연습을 조금 더 수월히 하기 위해 개념 정도는 선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어의 경우 선생님들이 문제 내는 유형이 일정하고 그 범위도 알고 있다면 반복 암기를 위해 선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탐구 과목은 사회냐 과학이냐 따라 다르고 세부 분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제 경우, ‘생활과 윤리’는 수업하는 선생님의 성향이 내신 시험에서 강하게 드러났기 때문에 선행을 하지 않고 수업에 큰 비중을 두고 공부했습니다. 반대로 ‘정치와 법’은 내신 시험이 수능 유형과 비슷했고, 문제를 풀며 개념과 풀이를 익히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해 방학 때 수능 문제집으로 개념을 선행했습니다. 탐구 과목은 따로 학원이나 과외를 이용하지 않는 학생이 많을 텐데, 저도 마찬가지여서 수능 문제집을 풀어본 뒤 해당 학기에 이를 위주로 수업을 정리했습니다. 자신의 공부 컨디션을 점검한 뒤엔 어떻게 선행학습을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대개는 학원 수강, 과외
-
대학 생글이 통신
수학 선행학습,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정도까지가 바람직하죠
중·고등학생 사이에서 “너 (수학) 선행 얼마나 했니?”라는 말은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하는 인사말처럼 돼버렸습니다. 다음 학기 선행을 넘어서 1, 2년 뒤 학교에서 배워야 할 교과 내용을 학원에서 미리 익히는 것은 예삿일이고, 초등학생이 미적분까지 진도를 나갔다는 말도 이젠 이상하지 않게 들릴 정도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이 3, 4학년 때 배우는 수학을 쉽게 여기는 것처럼, 선행학습을 하면 지금 학교에서 배우는 범위도 쉽게 풀 수 있다는 게 어쩌면 당연해 보입니다. 그런데 정말 선행학습을 하면 정규 수업과정을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선행학습이 공부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도선행학습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대부분 선행학습은 사교육을 통해 이뤄지는데, 해당 학년에서 공부할 범위보다 많은 내용을 제한된 시간 안에 다뤄야 하기 때문에 공부의 깊이가 얕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진도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대부분 학원은 기본 개념과 공식만 알면 풀 수 있는 문제만 짚고 다음으로 넘어가는 식으로 선행학습을 합니다. 이 경우 하나의 문제를 가지고 깊게 고민하면서 키울 수 있는 사고력이 크게 저하돼 고등학교, 더 나아가 많은 사고력을 요구하는 시험인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풀 수 있는 문제가 크게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좌절할 수 있습니다.또한 몇 년 뒤에 배울 내용을 먼저 배웠더라도, 그 내용을 다루는 학년이 됐을 때 미리 학습한 내용을 적용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인간의 뇌는 한 번 배운 내용을 주기적으로 복습하지 않으면 많은 부분을 망각합니다. 진도에 치중한 강의는 이전에 배운 내용을 충분히 복습할 시간을 주지 않기 때문에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