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즈존
-
생글기자
'노키즈존' 논란, 해결 방법은?
최근 ‘예스키즈존(yes kids zone)’이라고 쓴 팻말을 내건 가게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는 일정 연령 이하 어린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노키즈존(no kids zone)’에 반대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17년 노키즈존에 대해 ‘합리적 이유가 없는 평등권 침해’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자영업자의 영업 자율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여전히 높다.어린아이를 둔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가 있다는 이유로 출입을 금지당하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은 부당한 차별이라고 느낄 수밖에 없다. 반면 어린아이가 예의 바르지 못한 행동을 할 경우 다른 손님에게 불편을 끼치고, 사업주에게 경제적 손실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영유아들이 식당과 카페 등에서 장난을 치다 사고를 당하고, 이에 대해 사업주가 거액을 배상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사업장의 관리 책임을 묻기 전에 아이들이 위험하게 뛰어다니거나 장난을 치지 않도록 제지하는 부모의 책임이 우선이다.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질서와 예의를 지키도록 가르치는 것도 부모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부모와 어린아이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을 늘릴 필요도 있다. 어린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과 수유실, 기저귀 교환대 등을 공공장소에 많이 설치한다면 노키즈존을 둘러싼 갈등은 한결 줄어들 것이다. 영유아들이 다치지 않게끔 위험 요소를 제거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일도 중요하다. 무조건 출입을 금지하기보다 아동을 동반한 보호자에게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주의사항을 일러주고, 위반 시 이용을 제한하거나 책임을 묻도록 하는 것도 해결책이 될 수 있다.이성민 생글
-
생글기자
노키즈존(No Kids Zone)도 마케팅기법이다
마케팅은 ‘생산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유통시키는 것과 관련된 모든 체계적 경영활동’으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넓은 의미에서 노키즈존은 그 적절성에 대한 가치판단과는 별개로 역시 기업이 심사숙고해 결정한 마케팅 전략의 일부로 이해하고,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노키즈존은 영유아와 어린이의 출입을 원천 봉쇄하는 업소를 가리키는 신조어다. 어린아이가 음식점 등에서 소란을 피우거나 난동을 부리고, 아기 의자와 식기구에서 그치지 않는 무궁무진한 요구 사항 등에 부담을 느끼는 업주들이 노키즈존이라는 ‘수요를 줄이는’ 선택을 하는 이유는 뭘까. 기업가의 목표는 이윤극대화인데 말이다. 비용은 최소화하되 최대한 많이 팔고 많이 벌어 차액을 증대시켜야 하는 이들이 자진해서 ‘손님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꼴이니 말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노키즈존 정책을 ‘나름 합리적인 마케팅’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유는 이들이 영유아 손님을 받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단기적 수입을 포기하는 대신 각종 비용을 최소화하고 성인 손님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 장기적인 수입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영 활동을 마케팅의 일종인 ‘디마케팅’이라고 부른다. 특정 수입을 포기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장기적인 수익 증대를 노리는 것이다. 노키즈존 역시 마찬가지다.사실 어린이 손님을 받으면 최소 2명 이상의 가족 단위 손님을 받고, 어린이 단체 손님의 경우 부모까지 동반하게 되어 일반 손님보다 더 많은 수입을 올릴 수 있다. 그런데 이 막대한 수익을 포기하는 행동에도 경제학적, 합리적인 근거가 있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