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
커버스토리
우주관광·화성 도시 건설…머스크의 도전은 계속된다
지난달 민간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유인 우주선 발사에 성공한 미국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 이 회사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는 최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달과 화성 여행을 위해 바다 위에 떠 있는 우주선 발사 기지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머스크 CEO는 바다 위 우주선 발사 기지 개발에 참여할 직원(엔지니어)도 찾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 기지가 달과 화성 여행뿐만 아니라 지구를 초음속으로 도는 여행에도 사용될 것”이라며 “첫 초음속 지구 여행 시험은 2~3년 안에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민간 주도로 바뀌는 우주 개발머스크가 우주여행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세운 스페이스X는 지난달 30일 미 항공우주국(NASA) 소속 비행사 두 명을 태운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을 쏘아 올리며 인류 우주 개발 역사를 다시 썼다. 지금까지 유인 우주선을 띄운 국가는 미국 중국 러시아 등 3개국에 불과하다. 정부가 아니라 민간기업이 유인 우주선을 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머스크가 2002년 스페이스X를 설립한 이후 18년간 도전한 끝에 이뤄낸 성과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믿기지 않는다”며 “우리가 우주를 지배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는 “미국 정부가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을 중단한 지 거의 10년 만에 민간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우주비행사를 궤도에 진입시키며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했다.우주선·우주복도 혁신의 결정체스페이스X 우주선이 발사된 곳은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케네디우주센터 39A 발사대다. 이 발사대는 1969년 인류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유인 우주선 ‘아폴로 11호’를 쏘아
-
경제 기타
스페이스X,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괴짜 천재' 일론 머스크의 꿈 현실로
“미국 정부가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을 중단한 지 거의 10년 만에 민간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우주비행사를 궤도에 진입시키며 새로운 우주여행 시대를 열었다.”(뉴욕타임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세운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가 미 항공우주국(NASA) 소속 비행사 두 명을 태운 유인 우주선을 쏘아 올리며 인류 우주개발 역사를 다시 썼다. 지금까지 유인 우주선을 띄운 국가는 미국·중국·러시아 등 3개국에 불과하다. 정부가 아니라 민간 기업이 유인 우주선을 발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머스크 CEO가 2002년 스페이스X를 설립한 뒤 18년간 도전한 끝에 이뤄낸 성과다.ISS에서 수개월 머물며 연구 수행스페이스X는 지난달 30일 오후 3시22분(미 동부시간 기준·한국시간 31일 오전 4시22분) 미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 발사에 성공했다. 크루 드래건을 탑재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은 굉음을 내며 케네디우주센터 39A 발사대를 떠나 우주로 향했다.39A 발사대는 1969년 인류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유인 우주선 ‘아폴로 11호’를 쏘아올린 역사적인 곳이다. 크루 드래건에는 NASA 소속 우주비행사 더글러스 헐리(53)와 로버트 벤켄(49) 두 명이 탑승했다. 발사 후 12분 만에 추진 로켓에서 분리된 뒤 고도 약 400㎞ 상공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하는 궤도에 올라섰다. 크루 드래건은 발사 19시간 정도 지나 ISS에 도킹했다.자동 주행 방식의 크루 드래건은 기존 우주선과 조작 형태부터 다르다. 일반적인 버튼 대신 테슬라 전기차처럼 터치스크린으로 제어하는 차세대 우주선이다. 기내 온도는 섭씨 18~27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