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적 선택
-
시네마노믹스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슈퍼돼지 옥자의 구출…동물복지와 질 좋은 고기 사이 고민이 필요한 때
강원도 산골 소녀 미자와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한 슈퍼돼지 옥자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옥자’(감독 봉준호, 2017). 영화 속 환경운동가 집단인 ‘동물해방전선’은 서울 한복판에서 옥자를 납치했다가 다시 풀어준다. 유전자 조작으로 옥자를 탄생시킨 글로벌기업 미란도그룹의 뉴욕 실험실 내부를 촬영하기 위해 옥자의 귀 아래에 블랙박스를 심은 뒤다. 회사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미란도그룹이 미자를 뉴욕으로 초대해 옥자와 감동적인 재회 이벤트를 여는 순간, 동물해방전선은 미란도그룹이 돼지를 강제로 교배하고 전기충격기로 학대하는 등 비윤리적으로 사육한다고 폭로한다. 소비, 합리와 윤리 사이에서옥자를 보러 광장에 몰려든 소비자들은 미란도그룹을 거세게 비난한다. 당장이라도 미란도가 생산하는 돼지고기의 불매운동에 나설 기세다. 윤리적 소비의 전형이다. 주류경제학에선 사람들이 소비를 결정할 때는 자신의 소득, 상품 가격, 상품의 품질(효용) 등을 주로 고려한다고 본다. 윤리적 소비는 한 가지를 더 생각한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가치나 사회 전체에 미칠 영향이다.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는 비싸고 품질이 떨어져도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산다.소비자의 거센 항의에도 미란도그룹 수장인 낸시는 끄떡하지 않는다. 오히려 공장을 최대한 가동해 돼지고기 생산량을 늘리라고 주문한다. 합리적인 경제인이라면 품질 좋고 가격까지 싼 제품을 외면할 리 없다는 확신 때문이다. “가격이 싸면 사람들은 먹어. 초반 매출이 아주 좋을 거야. 내가 장담하지.” 소비가 원하는 세상을 만든다영화는 미란도그룹의 돼지고기가 정말 잘 팔
-
시네마노믹스
경제까지 '중증환자' 만드는 오염된 정보·가짜 뉴스
‘컨테이젼’ 같은 재난 영화에서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현상이 있다. 잘못된 정보가 사회에 빠르게 퍼지는 ‘인포데믹(정보 감염증)’이다. 인포데믹은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의 유행(epidemic)을 합친 단어다. 인포데믹이란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미국 전략분석기관 인텔리브리지의 데이비드 로스코프 회장이다. 그는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유행했던 2003년 워싱턴포스트에 기고한 글에서 “인포데믹은 한번 생기면 곧장 대륙을 넘어 전염된다”고 설명했다.가짜뉴스가 전염병처럼 빨리 퍼져‘컨테이젼’에서도 감염병을 둘러싸고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수없이 돌아다닌다. 방송 뉴스의 앵커가 인터뷰를 위해 출연한 질병통제예방센터 관계자에게 “인도의 한 약이 치료 효과가 있는데 미국 정부가 발표를 막고 있다는 소문이 진짜냐”고 묻는다. 아시아와 남미에서는 ‘미국과 프랑스가 백신을 이미 개발했지만 아시아에 주지 않는다’는 소문이 퍼지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전문가와 과학자들이 납치된다.영화에는 혼란을 이용해 일부러 ‘가짜뉴스’를 퍼뜨려 부당한 이득을 얻는 사람들도 등장한다. 프리랜서 기자 앨런 크럼위드(주드 로 분)는 블로그에 자신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가 개나리액을 먹고 나았다며 거짓 영상을 찍어 올린다. 이를 믿은 수많은 사람은 개나리액을 사기 위해 약국에 줄을 선다. 그러나 판매 수량이 부족해 폭동이 발생한다. 크럼위드는 개나리액 사기를 통해 450만달러(약 55억원)를 챙기고 백신이 개발된 뒤에도 ‘부작용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을 퍼뜨리다 증권 사기 및 범죄 모의 등의 혐의로 수사당국에 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