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
역사 기타
개신교 직업윤리, 자본주의 부상에 결정적 역할
마르크스주의의 장단점이 있다. 장점은 세상이 너무나 명료하게 보인다는 거다. 누구는 머릿속 전구에 환하게 불이 들어온 것 같다는 표현을 썼는데 아마 입교자 대부분의 체험 역시 비슷할 것이다. 마르크스주의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토대와 상부구조로 나누어 설명한다. 토대는 하부구조라고도 하는데, 핵심은 생산력과 생산관계다. 생산관계는 생산에 투입된 인간들이 맺는 관계다. 어떤 사람은 고용하고 어떤 사람은 고용된다. 생산력은 증가하는데 생산관계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면 이 생산관계는 붕괴한다. 이 과정이 계급투쟁이고 성공하면 혁명이라고 말한다.상부구조는 정치적·도덕적·철학적 견해와 그에 상응하는 기관과 조직이다. 마르크스는 인간의 의식 체계인 상부구조를 토대의 반영이라고 주장했다. 아주 틀린 얘기는 아니다. 농업사회에 사는 사람과 산업사회에 사는 사람의 삶이나 생각이 같을 수 없다. 전통 한옥과 현대식 아파트 거주자의 삶의 방식과 생각도 다르다. 가령 이주노동자를 바라보는 지식인 집단의 시선은 관대하다. 자신과 경쟁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단 지역 거주자에게 이들은 경쟁 상대다. 눈길이 곱지 않다. 존재가 의식을 결정하는 것이다. 단점은 인간의 실종이다. 모든 것은 생산관계를 반영할 뿐이며 인간 정신의 중요성은 제한되거나 희박해진다.시장을 경시한 마르크스개인적으로 마르크스주의의 가장 치명적 약점은 시장(市場)의 무시라고 생각한다. 그의 대표작을 보면 상품, 화폐, 잉여가치, 임금, 자본 이야기만 끝없이 이어지고 시장이라는 놀랍고 위대한 인간 정신의 활동 과정은 생략된다. 놀라울 뿐 아니라 시장은 합리적으로 아름
-
역사 기타
마틴 루터 "구원은 선행 아닌 믿음의 결과"
“역사는 신비에 가득 찬 신의 작업장이다.” 괴테가 한 말이다. 개인적으로 이 말에 동의하지 못한다. 역사는 그다지 신비롭지도 않으며 신의 작업장이라는 표현에는 신념을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한 사람들에 대한 존중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매몰된 광부 한 명을 구하기 위해 그가 누구인지도 모르는 무수한 사람이 기꺼이 팔을 걷어붙이고 목숨을 건다는 데 인간의 위대함이 있다”는 카뮈의 경구는 울림이 크다. 그보다 “역사는 자연과학적 필연 + 확률적 우연의 결과물”이라는 말이 더 와닿는데, 조금 어려워 보이지만 간단히 말하면 일어날 일은 일어나고 다만 그 일이 누구로 인해 일어날 것인지만 확률적이라는 얘기다. 1517년 루터가 종교개혁의 기치를 높이 들었을 때 자연과학적 필연, 그러니까 객관적 환경은 충분히 무르익은 상황이었다.1000년 가톨릭 세계관, 부르주아 이익과 충돌일단 1000년 동안 지속된 가톨릭의 세계관은 새로운 계급인 부르주아의 이익과 심각하게 충돌했다. 당시 일을 하지 않는 주일과 각종 성인(聖人)을 기리는 축일이 1년에 무려 100일이었다. 사람이 놀아도 밀은 자라지만 사고파는 게 일인 부르주아에게 100일의 강제 휴무는 징벌과 다름없다. 이들은 슬슬 짜증이 나기 시작한다. 한편 로마 가톨릭은 구원에 대한 희망과 지옥에 대한 공포를 이용해 막대한 수입을 올리고 있었다. 신자들은 고해성사를 통해 지옥의 저주를 피하려고 했고 현세와 내세의 일시적 형벌은 면벌부라는 종교적 공채를 통해 기간을 단축했다. 이때 나타난 사람이 루터다. 루터는 교황, 주교, 사제들이 전혀 영적 계급이 아니며 동일한 믿음을 가진 기독교
-
역사 기타
종교개혁 이끈 루터 '뒷배'는 상공업 부르주아
1517년 10월 31일은 개신교 창립일이다. 그날 마르틴 루터는 비텐베르크 교회에 면벌부 비판을 핵심으로 하는 질문과 선언 95개조를 ‘발송’한다(라틴어로 썼으니 일반인 보라는 게 아니라 교리 토론을 하자는 얘기였다. 교회 대문에 붙일 이유가 없다).직후 교황은 물었다. “감당할 수 있겠냐?” 루터는 교황의 파문 문서를 불살라버리는 이벤트로 답변을 대신한다. 루터가 말귀를 못 알아먹자 교황은 루터의 영방군주인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를 압박한다. “그놈의 입을 다물게 해주면 당신이 추천하는 후보를 추기경으로 선발하겠다.” 그러나 프리드리히는 루터의 발언에 문제가 있는지는 내 알 바 아니고, 게다가 그런 모호한 이유로 자신에게 속한 학자를 로마로 보내야 한다는 주문은 납득할 수 없다는 말로 교황의 제안을 뭉갠다. 까이고 뭉개지고 교황의 체면은 엉망이 된다. 결국 사태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가 한바탕 전쟁을 벌이고서야 일단락된다.걸고넘어진 건 면벌부지만 실은 그 이상이다. 루터는 가톨릭이 절대 수용할 수 없는 선을 화끈하게 넘었다. 그는 선행(善行)과 회개에서 구원이 온다는 가톨릭의 교리를 부정했다. 그 대신 구원이란 신에 대한 복종과 해방에 대한 믿음에서 온다고 주장했다. 선행의 결과가 구원이 아니라 선행이 구원의 결과라고 원인과 결과를 바꿔버린 파격이다. 루터의 발언대로 하면 신의 대리인인 가톨릭 사제의 입지가 사라진다.죄는 기독교의 독창적인 발명품이다. 유대인은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에서 선(善)과 악(惡)이라는 개념을 배웠고, 기독교인은 이 악에 죄라는 토핑을 얹었다. 그래서 인간은 시도 때도 없이 죄를 회개해야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