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구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역-제구실'로 엿보는 우리말 조어법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신고된 홍역 환자는 모두 52명이다. 이는 지난해 1년간 발생한 환자 49명보다 많은 것으로, 2019년(연간 194명) 이후 6년 만에 최다다.”이달 4일 국내 홍역 환자가 다시 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 한동안 화제가 됐다. 우리나라는 2014년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홍역 퇴치국으로 인정받았다. 그런데도 소규모 환자가 계속 생기는 이유는 이들 대부분이 해외에서 유입되어서다.‘제구실’은 환유 통해 탄생한 조어‘홍역(紅疫)’은 1~6세의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하는 급성전염병이다. 온몸에 좁쌀 같은 붉은 발진이 돋는다고 해서 붉을 홍(紅) 자와 염병 역(疫) 자를 써서 이름 지었다. 이름에는 병에 대한 단서가 담겨 있다. ‘후진국형 질병’이라고 할 만큼, 의료시설과 후생이 열악하던 지난 시절엔 아주 흔한 병이었다.그런 만큼 우리말에도 그 존재감이 역력히 남아 있는데, ‘제구실’이 그것이다. ‘제구실’이란 ‘자기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나 책임’을 뜻하는 말이다. “제구실도 못 하는 주제에 남의 걱정을 한다” 같은 게 전형적 용법이다. 여기에 더해 ‘어린아이들이 으레 치르는 홍역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아이가 홍역을 앓고 나야 비로소 사람 구실을 한다는, 그만큼 누구나 치러야 하는 역병이라고 해서 생겨난 이름이다.“홍역을 치렀다”라는 관용구에도 이 질병에 대한 무서움이 담겨 있다. 이는 어떤 일에서 ‘몹시 애를 먹거나 어려움을 겪는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큰아들의 가출로 온 집안이 홍역을 치렀다”처럼 쓴다. 그러니 홍역의 또 다른 이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