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죽음에 대한 실존적 고민이 삶의 본질 결정"

    “펠레우스의 아들 아킬레우스여, 아카이아인(人)들 중에서 가장 강력한 자여, 나는 예언자 테이레시아스에게 물어보러 왔소이다. 어떻게 하면 내가 바위 많은 이타케에 닿을 수 있겠는지, 그가 혹시 어떤 조언을 해줄 수 있을까 해서 말이오. 나는 아직도 아카이아 땅에 가까이 다가가지도 못하고 내 자신의 나라를 밟아보지도 못한 채 끊임없이 고통만 당하고 있소. 그러나 아킬레우스여, 그대로 말하면 어느 누구도 일찍이 그대처럼 행복하지 못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오. 그대가 아직 살아 있을 적에 우리들 아르고스인들이 그대를 신처럼 공경했고, 지금은 그대가 여기 죽은 자들 사이에서 강력한 통치자이기 때문이오. 그러니 아킬레우스여, 그대는 죽었다고 해서 슬퍼하지 마시오.”이렇게 내가 말하자 그(아킬레우스)는 지체 없이 이런 말로 대답했소.“죽음에 대하여 나를 위로하려 들지 마시오, 영광스러운 오뒷세우스여. 나는 죽은 자들 모두를 통치하느니 차라리 시골에서 머슴이 되어 농토도 없고 가산(家産)도 많지 않은 다른 사람 밑에서 품팔이를 하고 싶소. 자, 그대는 내 의젓한 아들 소식이나 전해주시오. 그 애는 제일인자(第一人者)가 되기 위하여 전쟁터로 나갔소? 아니면 그러지 않았소? 그리고 나무랄 데 없는 내 아버지 펠레우스에 관해서도 들은 것이 있다면 말씀해주시오. 그분께서는 아직도 뮈르미도네스족(族) 사이에서 명예를 누리고 계시오? 아니면 노령(老齡)이 그분의 손발을 묶었다고 해서 헬라스와 프티아에서 사람들이 그분을 업신여기고 있소? 나는 더 이상 햇빛 아래서 그분을 보호하지 못하며, 넓은 트로이아에서 가장 용맹한 적들을 죽이고 아르고스인들을 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말(馬) 사망'을 어찌해야 하나요

    “안타깝게도 촬영 후 1주일쯤 뒤에 말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 사고를 방지하지 못하고 불행한 일이 벌어진 점에 대해 시청자분들께 거듭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난 1월 20일 KBS는 시청자에게 사과문을 발표했다. 당시 방영 중이던 대하사극의 낙마 장면을 촬영하던 도중 말이 넘어져 죽자 동물학대 비판이 거세게 일어난 직후였다. 이 사고는 근래 반려동물 등에 관한 ‘동물권’ 인식 확산 바람을 타고 우리 사회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사전적으론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말우리말 관점에서도 눈에 띄는 곳이 있다. ‘사망’의 용법과 관련해서다. ‘말이 사망했다’는 왠지 어색하다. 사고 소식을 전한 언론보도에서도 미묘한 차이가 있었다. “말 스스로 일어났지만, 사망” “낙마사고 촬영 1주일 뒤 말 사망 확인”처럼 ‘사망’을 쓴 게 많았지만, “촬영 위해 넘어뜨린 말, 1주일 뒤 죽었다” “‘태종 이방원’ 말 죽음 사고…” 식으로 표현한 것도 많았다. 말의 ‘사망’과 ‘죽음’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사전적으로 사망은 ‘사람의 죽음’을 뜻한다. 우리 인식에 소 돼지 등 짐승의 죽음을 ‘사망’이라고 하지 않았다. 그렇게 배우고 써왔다. ‘말 사망’에서 오는 어색함은 그런 학습효과에서 연유하는 것 같다. 말을 아는 것과 올바로 구사할 줄 아는 것은 다른 얘기다. ‘사망’이란 말은 누구나 알지만, 그 대상이 사람에 한정돼 쓰인다는 점은 종종 간과한다.용법을 알아야 말을 정확히 쓸 수 있다. 글쓰기에서 이게 왜 중요하냐면 ‘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