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
-
과학과 놀자
뜨거운 물, 찬물 번갈아 담그면 맛·영양 다 잡아
달걀 하나를 삶을 때도 과학이 필요할까. 화학자, 재료과학자, 공학자가 이 질문에 답을 내놨다. 이탈리아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University of Naples Federico II) 소속 공동 연구팀은 ‘주기적 조리(periodic cooking)’라고 이름 붙인 새로운 달걀 조리법을 지난 2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엔지니어링(Nature Communications Engineering)’에 발표했다.해당 연구는 식품의 식감과 영양을 모두 최대한 끌어 올리는 동시에 재료과학과 소재공학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다.달걀 조리가 까다로운 이유는 흰자와 노른자의 익는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흰자는 85℃쯤 돼야 단단히 굳지만, 노른자는 65℃ 정도에서 가장 부드럽게 익는다. 그런데 달걀 껍데기를 깨지 않는 이상 흰자와 노른자를 따로 삶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결국 흰자와 노른자 중 하나를 희생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예컨대 반숙이나 수비드(밀봉된 봉지에 담긴 음식물을 정확히 계산된 온도의 물로 천천히 가열하는 조리법) 방식처럼 저온에서 오래 익히면 노른자는 부드러워지지만 흰자는 설익고, 펄펄 끓는 물에서 삶을 경우 흰자는 잘 익으나 노른자는 퍼석해진다.연구팀은 흰자와 노른자 모두 최적의 상태로 익히기 위해 달걀 내부의 열전달(온도변화)과 단백질 변성(익는 정도)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수학 모델을 구성했다. 달걀흰자와 노른자는 열전도도·밀도·비열 같은 물성이 다르고, 이 물성들은 온도에 따라 변한다. 연구팀은 이를 고려해 열이 달걀 내부를 통과할 때 단백질이 변성돼 익어가는 속도를 아레니우스 방정식을 이용해 수식화했다. 아레니우스 방정식은 화학반응의 속도가 온
-
경제 기타
달걀 수입은 꼭 필요할까요?
달걀 수입은 공급문제 해결에 숨통을 틔워주긴 하지만 가격 차별성으로 인한 실효성 논란이 일거 같아요.조류인플루엔자(AI)가 우리나라를 휩쓸면서 많은 닭이 도살 처분되고 닭이 사라지니 자연스럽게 달걀 또한 사라져가고 있다. 제빵, 제과점에서 만드는 제품 중 달걀이 들어가지 않는 제품은 손에 꼽을 만큼 적다. 대표적으로 많은 사람의 한 끼를 간단히 책임져 주는 빵들의 가격이 올라가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달걀 대란을 해결할 방법은 없는 걸까? 정부는 첫 번째 대안으로 달걀을 수입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현재 실행 중이다.미국과 뉴질랜드 등지에서 수입한 달걀을 기업 제빵, 제과점에 공급하고 시중 마트에서도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수입된 달걀은 우리가 평상시 보던 달걀과 달리 하얀색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수입된 달걀이 가져올 위험성과 문제 가능성은 없을까? 물론 있다. 먼저 달걀과 같은 식재료를 수입될 때 까다로운 방역과 검역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갑자기 수요와 공급에 문제가 생긴다면 방역망에 허점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두 번째는 가짜 달걀이다. 예전에 우리나라에 중국에서 들여온 가짜 달걀이 문제가 되었던 적이 있다. 만약 대규모 제빵, 제과점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하나라도 가짜 달걀이 섞이게 된다면 그 재료로 만든 모든 제품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짜 달걀 파동을 겪게 되면 제빵, 제과 기업은 돌이킬 수 없는 신뢰도에 타격을 입게 되고, 기껏 수입해 온 달걀이 아무 쓸모가 없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외국 달걀은 수입 비용을 포함하여도 현재 우리나라 달걀보다 저렴하다. 이런 저렴한 가격의 달걀을 지금까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