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TV 시장 혁신할 신기술 나노셀

    삼성전자가 나노셀 기술을 적용한 TV를 출시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 QLED, OLED 기술과 비교했을 때 나노셀 TV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소비자 입장에서 어떤 장점이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나노셀 기술은 초미세 입자를 활용해 TV 화면의 색상을 보다 정밀하게 표현하는 기술이다. 기존 TV에 비해 순도 높은 색상을 나타낼 수 있고, 정확한 색감을 제공하며, 다양한 시청 환경에서도 색상을 왜곡 없이 보여준다. LCD TV는 정면에서 볼 때와 측면에서 볼 때 색상이 다르게 보일 때가 많았다. 나노셀 기술은 색상이 흐려지는 현상을 방지해 여러 각도에서도 일정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OLED는 오래 쓰면 디스플레이에 잔상이 얼룩처럼 남는 번인 현상이 단점이다. QLED는 한결 밝고 선명한 색감을 제공하지만, LCD 패널의 한계를 지닌다. 나노셀 TV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면서 정밀한 색감과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삼성이 나노셀 기술을 적용한 TV를 내놓으면 QLED, OLED와의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노셀 TV는 색상의 정확도와 넓은 시야각을 중시하는 소비자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것이다. 번인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앞으로 나노셀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TV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지 기대된다.이건영 생글기자(대전대신고 2학년)

  • 과학과 놀자

    야광물질의 빛 방출은 1~2분, 철 녹스는데 수년 걸려…녹는점·끓는점·밀도처럼 '시간'도 물질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을까

    과학이 지금까지 발전해올 수 있었던 것은 물질의 특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객관적인 표현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가능했다. 만약 물질의 특성을 빨갛다, 파랗다, 차다, 뜨겁다 등의 주관적인 표현으로만 나타내었다면, 과학의 진보가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물질의 특성인 녹는점, 끓는점, 용해도, 밀도 등을 보면 ‘℃’, ‘g/물 100g’, ‘g/mL’ 등 여러 형태의 단위를 포함한 수치로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시간과 관련이 있는 물질의 특성도 존재할까?녹는점, 용해도, 밀도, 전도도 등 물질의 특성은 어느 특정 물질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질로서 물질의 특성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물질은 항상 그 물질로만 존재하지 않고 변한다. 또 어떤 물질이 다른 물질로 변하지는 않지만 에너지 상태가 높고 낮은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기도 한다. 즉, 한 물질이 다른 물질로 변하거나 다른 상태로 변하는 일이 일어난다. 이때 그 변하는 속도가 물질마다 또 물질의 상태마다 고유하다.물질이 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 ‘반감기’어떤 물질이 일정 시간 동안에 양이 변하였다면, 변화 속도는 시간과 양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변화 속도는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가 될 수 있을까? 물질의 수가 많으면 속도가 커진다. 즉, 양에 따라 변하는 값이므로 이는 물질의 특성을 대표할 수가 없다.그러면 조금 더 살펴보자. 이 물질이 스스로 분해하여 다른 물질로 변한다면, 이 물질의 개수는 시간에 따라 줄어드니 변화 속도는 마이너스 값을 가지고, 이 물질의 개수가 많을수록 줄어드는 양도 많다. <그림 1&g

  • 과학과 놀자

    금도 나노 크기로 쪼개면 헤어드라이어로 녹일 수 있어

    과학자는 물질을 연구한다. 물질을 연구하는 것은 물질의 새로운 성질을 알아내는 일, 새로운 물성을 가진 물질을 만드는 일, 새로운 물질을 활용하는 일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그래핀(graphene)에서 휘는 성질과 전기를 잘 통하는 성질이 있음을 밝히는 일, 그래핀을 합성하는 일, 이 물질을 이용해 생활에 필요한 도구를 만드는 일 등이 과학자가 하는 일에 해당한다. 그런데 새로운 성질이 없다면 합성하는 것도 응용하는 것도 의미가 없어진다. 그런 의미에서 물질의 성질을 연구하는 일이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짐작할 수 있다.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과학의 개념은 국가에서 공시한 교육과정에 따르고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물질의 특성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물질과 혼합물의 개념을 이해하여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물질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밀도, 용해도, 끓는점, 어는점 등이 물질의 특성이 될 수 있음을 알고…밀도, 용해도, 끓는점, 어는점이 물질의 특성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중학교 교과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물질의 특성을 정의하고 있다.< 물질은 색깔, 맛, 냄새와 같은 겉보기 성질과 부피, 질량, 길이 등 크기 성질과 끓는점, 밀도와 같이 물질의 양과 관계없는 세기 성질을 갖는다. 물질의 여러 가지 성질 중 그 물질만이 나타내는 고유한 성질을 물질의 특성이라고 한다. >그래서 학생들은 끓는점, 녹는점, 밀도, 용해도 등 양과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갖는 물질의 성질을 물질의 특성으로 이해하고 있다. 즉, 물질의 특성은 크기와 무관한 값을 갖는다고 인식한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배울 때도 금을 반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