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네마노믹스

    경제까지 '중증환자' 만드는 오염된 정보·가짜 뉴스

    ‘컨테이젼’ 같은 재난 영화에서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현상이 있다. 잘못된 정보가 사회에 빠르게 퍼지는 ‘인포데믹(정보 감염증)’이다. 인포데믹은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의 유행(epidemic)을 합친 단어다. 인포데믹이란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미국 전략분석기관 인텔리브리지의 데이비드 로스코프 회장이다. 그는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유행했던 2003년 워싱턴포스트에 기고한 글에서 “인포데믹은 한번 생기면 곧장 대륙을 넘어 전염된다”고 설명했다.가짜뉴스가 전염병처럼 빨리 퍼져‘컨테이젼’에서도 감염병을 둘러싸고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수없이 돌아다닌다. 방송 뉴스의 앵커가 인터뷰를 위해 출연한 질병통제예방센터 관계자에게 “인도의 한 약이 치료 효과가 있는데 미국 정부가 발표를 막고 있다는 소문이 진짜냐”고 묻는다. 아시아와 남미에서는 ‘미국과 프랑스가 백신을 이미 개발했지만 아시아에 주지 않는다’는 소문이 퍼지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전문가와 과학자들이 납치된다.영화에는 혼란을 이용해 일부러 ‘가짜뉴스’를 퍼뜨려 부당한 이득을 얻는 사람들도 등장한다. 프리랜서 기자 앨런 크럼위드(주드 로 분)는 블로그에 자신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가 개나리액을 먹고 나았다며 거짓 영상을 찍어 올린다. 이를 믿은 수많은 사람은 개나리액을 사기 위해 약국에 줄을 선다. 그러나 판매 수량이 부족해 폭동이 발생한다. 크럼위드는 개나리액 사기를 통해 450만달러(약 55억원)를 챙기고 백신이 개발된 뒤에도 ‘부작용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을 퍼뜨리다 증권 사기 및 범죄 모의 등의 혐의로 수사당국에 붙

  • 커버스토리

    '포스트 코로나' 헤게모니 잡아라…미·중 패권전쟁 2R

    미국과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계기로 ‘패권전쟁 2라운드’에 들어갔다. 패권전쟁 1라운드였던 무역전쟁을 휴전으로 봉합했던 미·중이 다시 신냉전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19 확진자·사망자 수 모두 1위의 불명예를 얻은 미국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리더십에 상처를 입은 반면 중국은 ‘의료 실크로드’를 내세워 미국의 빈틈을 파고드는 게 패권전쟁 2라운드의 특징이다.미국 ‘중국 때리기’ 재시동지난 1월 15일 중국과 무역전쟁 휴전에 합의한 뒤 중국 비판을 자제해왔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중국 때리기’에 나섰다.첫째, ‘중국 원죄론’이다. 중국이 코로나19 발병 초기 사건을 은폐·축소하는 바람에 전 세계가 피해를 봤다고 비판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미국이 받은 최악의 공격이고 진주만 공습이나 세계무역센터 테러보다 더 나쁘다”며 중국 책임론을 다시 부각시켰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우한바이러스연구소에서 코로나19가 유출됐다는 증거가 있다”고 거듭 비난하고 있다. 둘째, ‘탈중국 드라이브’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지난달 9일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에서 미국으로 돌아오는 기업의 이전 비용을 세금 공제를 통해 100% 지원할 수 있다고 했다. 셋째, 중국에 우호적인 국제기구 공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세계보건기구(WHO)를 ‘중국 편’이라고 공격하며 자금 지원을 중단한 게 대표적이다.미 CNBC는 대선이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트럼프 캠프가 ‘중국 때리기’를 올해 대선 전략으로

  • 경제 기타

    6개월 남은 미국 대선…'코로나 대응 실패' 트럼프 운명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선이냐,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앞세운 민주당의 정권 탈환이냐.’오는 11월 3일 예정된 미국 대통령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바이든이 여론조사에서 트럼프를 앞서고 있다. 공화당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미숙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탓에 대선에서 패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물론 결과는 아무도 모른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대선 때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에게 거의 모든 여론조사에서 졌지만 대선에선 승리했다. 이번에도 ‘어게인(again) 2016년’을 노리고 있다. 미 대선 결과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신냉전으로 치닫고 있는 미·중 관계를 비롯한 국제 질서에도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친(親)트럼프 ‘폭스’도 “바이든 우세”여론조사 흐름은 바이든 전 부통령에게 유리하다. 정치 전문사이트 리얼클리어폴리틱스가 지난 4월 2~28일 시행된 10여 개 여론조사를 종합한 결과 바이든 전 부통령이 전국 지지율에서 48.3%로 우세했다. 42.0%에 그친 트럼프 대통령을 6.3%포인트 차로 따돌렸다. 선거 때마다 지지 정당이 갈리는 경우가 많아 미 대선의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펜실베이니아, 미시간, 위스콘신,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 애리조나 등 6개 ‘스윙스테이트(경합 주)’에서도 바이든 전 부통령의 우세를 예상하는 조사 결과가 많다.친트럼프 성향의 폭스뉴스가 지난달 중순 펜실베이니아, 미시간, 플로리다주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바이든 전 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각각 8%포인트, 8%포인트, 3%포인트 차로 따돌렸다.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선 바이든 전 부통령이 50 대 45로 트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