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과 놀자

    사람 몸에서 가장 빨리 늙는 기관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이는 사회 활동에 제약이 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하지만, 최근 생물학적으로도 의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난 9월 호주 모나시대와 덴마크 제약 기업 노보노디스크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 장기는 사람의 나이와 상관없이 저마다의 속도로 늙는다. 즉 노화 관점에서 보면 장기마다 다른 나이를 지니는 것이다.연구팀은 각 장기의 노화 정도를 알아내기 위해 ‘DNA 메틸화’에 주목했다. 모든 세포에는 일종의 설계도인 DNA가 존재한다. DNA는 늘 똑같이 발현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어떤 유전자는 켜지고 어떤 유전자는 꺼지며 세포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킨다. 이때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DNA 메틸화다. DNA의 특정 위치에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메틸기’가 붙었다 떼어지며 유전자의 스위치를 켰다 끈다. 그런데 몸속에서 DNA 메틸화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유전자 발현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다. DNA 메틸화의 변화는 암 또는 노화에 따른 장기 기능 저하의 지표로 여겨진다.연구팀은 노화에 따른 인체의 메틸화 패턴을 알아내기 위해 전례 없이 방대한 자료를 모았다. 18세부터 106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에게서 피부, 근육, 폐, 위, 망막, 간 등 총 17개 인체 조직에서 취한 1만5000여 개 샘플을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약 90만 개의 DNA 위치를 하나하나 살피며, 나이 들수록 메틸화가 어떻게 바뀌는지 추적했다. 쉽게 말해 인체의 노화 지도를 완성한 것이다.이 노화 지도로 알아낸 첫 번째 발견은 장기별 노화 속도다. 분석 결과, 가장 노화가 빨리 일어나는 장

  • 생글기자

    노화와 장수의 비밀 밝혀낼 동물 연구

    노화란 나이가 들어가며 나타나는 신체적·인지적 변화를 말한다.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시력이 나빠지고, 신체 기능이 쇠퇴하는 것 등이 노화 현상이다.노화는 죽음에 가까워지는 과정이기도 하다. 장수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노화 연구로 이어졌고, 노화를 극복하고 수명을 늘리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노화의 비밀과 관련해 주목할 만한 동물 연구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미국 물리학자 제프리 웨스트는 저서 《스케일》에서 인간과 동물, 식물 등 모든 생명체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법칙을 내놨다. 그는 코끼리의 수명이 생쥐보다 많게는 70년까지 긴 이유를 몸집 크기에 따른 대사율 차이로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몸집이 큰 동물의 세포가 에너지를 처리하는 속도는 작은 동물의 세포가 에너지를 처리하는 속도보다 현저히 느리다.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한정돼 있기에 세포 수준에서 에너지 처리 속도가 느린 동물일수록 세포 손상 또한 느리게 일어나 수명이 길어진다는 것이다.반대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다양한 파충류와 양서류를 연구해 거북, 악어, 도마뱀처럼 체격이 작은 데 비해 수명이 긴 동물에서 노화가 느리게 진행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거북이의 특징은 성체가 되고 나서도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노화를 일으키는 세포 손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노화 연구가 하나둘 성과를 내면서 인간의 수명도 점차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길어진 수명만큼 많아진 시간을 어떻게 보내며 살아야 할지도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이수아 생글기자(용인외대부고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