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
-
커버스토리
'효율 지상주의' 벗어나 위기관리로…키워드가 바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중국에서 기승을 부리던 지난 2월 19일. 태평양 건너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가 있는 애플은 “2분기(1~3월) 매출 가이던스(기업이 공개한 예상 실적) 달성이 불가능해졌다”고 선언했다. 아이폰 생산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중국 위탁생산 공장이 줄줄이 ‘셧다운(일시 가동 중단)’됐기 때문이다. 비용과 생산 효율성을 고려해 중국에 생산기지를 몰아넣은 것이 부메랑이 된 것이다. 애플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베트남 태국 등으로 생산기지를 분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유동성 확보 위해 일정 현금 비율 가져간다그동안 기업경영의 절대 가치는 ‘효율성’이었다. 저비용 국가로의 생산기지 집적화(클러스터), 대량 생산, 재고 최소화 등을 통해 ‘비용과 시간을 지배하는 것’이 기업 경영자의 최고 덕목으로 평가됐다. 그랬던 기업 경영이 코로나19 이후 변하고 있다. 중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사슬이 순식간에 붕괴되는 것을 보면서 효율성 이면에 가려진 ‘위험(리스크)’이 부각되면서다.코로나19 시대 기업들은 앞다퉈 현금 비중을 높이고 있다. 영업활동 중단으로 인해 자금이 언제 부족해질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국내 대기업들도 평소에는 쳐다보지 않던 기업어음(CP) 발행 시장을 최근 들어 살펴보기 시작했다. 일부 대기업은 CP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위기 상황에서 기업의 성쇠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인이 ‘현금’이라는 것을 코로나19 쇼크를 통해 기업 경영자들이 몸소 느끼고 있어서다. 박남규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적어도 6개월 이상 버틸 수 있는 현금의 중요성을 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