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K컬처 인기, 한복산업 성장 기회로 활용하자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 흥행에 성공하며 작품에 나오는 한복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하지만 한복 산업에 대한 정부의 효과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승수 의원은 최근 “한복은 단순히 옷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 미감과 국가적 정체성을 세계에 소개하는 문화적 자산”이라며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문체부의 한복 산업 실태 조사는 2022년부터 중단됐다. 한복 산업이 처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산업 성장의 기반이 되는 연구·개발 지원 역시 지난 5년간 두 차례에 불과했다. 한복 문화 진흥을 위해 설립한 공공기관인 한국한복진흥원은 최근 3년간 운영하던 사업이 중단돼 내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국비 지원을 전혀 못 받게 됐다.법적 기반도 취약하다. 한식은 한식진흥법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가, 한옥은 한옥 등 건축 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국토교통부가 지원하고 있다. 반면 한복은 관련 법이 없어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하다. 문체부는 10월 21일을 한복의 날로, 10월 셋째 주를 한복 문화 주간으로 지정했지만, 실효성 있는 한복 산업 활성화 방안은 마련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K-팝 등 한류 콘텐츠가 세계 곳곳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지금은 한복을 세계에 알릴 좋은 기회다. 우리가 가진 또 하나의 문화 자산인 한복을 제대로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이다은 생글기자(청심국제고 3학년)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고대국가로 발전하며 문화정책 힘 쏟은 백제의 유산

    방탄소년단(BTS)의 음악이 연속 3회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른 적이 있다. 유라시아대륙을 몇 번 횡단했는데, 매번 한류(韓流)의 뜨거운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이란의 이스파한시에서는 싸이의 말춤을 시민들과 함께 췄고, 중앙아시아의 사막을 횡단할 때는 “주몽”을 외치며 내 어깨에 손을 얹은 청년들과 신나게 웃어 젖히기도 했다. 2019년 한국의 문화콘텐츠 수출은 103억달러였다. 아카데미상을 받은 영화 ‘기생충’은 2019년 11월 말까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박스오피스 매출이 1억1000만달러에 이른다. 정보, 통신, 건축 등을 포함한 문화산업의 규모와 이익은 이보다 훨씬 더 크다. 기쁘고도 놀랄 만한 현상이다.우리 역사에서는 이 같은 문화산업 및 문화수출 현상이 없었을까? 백제가 멸망할 때 인구는 고구려보다 많은 76만 호(戶), 약 380만 명이었다(《구당서》 《삼국사기》). 농경, 어업은 물론 상업, 무역이 활발하면 국부가 창출되고 경제력이 강해진다. 백제는 4세기 중반 근초고왕 시대에 예성강 이북까지 북상했고, 마한 지역을 장악한 뒤 일본 열도로 진출했다. 이어 신라와 고구려를 압박했다. 이에 더해 ‘요서 진출설’과 ‘양자강 유역 점유설’이 주장될 정도였으니 군수산업은 분명 활성화돼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자연환경과 국민정서, 오랜 문화전통으로 인해 문화가 발달했고, 문화정책에 힘을 더 기울인 듯하다. 차원이 다른 예술품 금동대향로1993년 12월, 부여 능산리 절터 유적에서 이를 확신할 수 있는 유물이 발굴됐다. 7세기 전반에 제작된 높이 62.5㎝, 무게 11.8㎏의 ‘금동대향로’다. 이 향로는 뚜껑, 몸체, 받침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받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