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전공학부
-
대학 생글이 통신
전공 선택 고민된다면 자유전공학부가 대안
2025학년도부터 여러 대학이 자유전공계열 또는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했습니다. 자유전공학부는 ‘무전공제’라고도 불립니다.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은 전공 학과를 선택하지 않은 채 입학한 후 2학년이 되기 전 겨울방학에 전공을 정합니다. 이때 학점이나 문·이과 구분 등의 조건 없이 전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자유전공학부의 장점은 1년 동안 미래를 깊이 고민해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학과의 동기 중 대학에 와서 공부하는 내용이 자신이 생각했던 것과 다르거나 전공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고민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물론 자유전공학부 학생들도 자신에게 100% 딱 맞는 전공을 택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보다 조금 더 시간을 갖고 신중하게 고민해볼 수 있다는 것은 좋은 점입니다.대학에 진학하면 보다 넓은 세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환경이 달라지면 시야도, 시각도 달라집니다. 고등학교 때 생각한 전공과 대학 생활을 경험하고 나서 선택하는 전공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학에서는 더 다양한 친구와과 여러 분야의 교수님을 만날 수 있고 동아리와 학생 단체 활동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시도하지 못하던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볼 수 있는 곳이 대학입니다. 고등학교 때 사회탐구를 공부했던 학생이 대학에 와서 수학과 과학 과목을 수강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대학에서 1년을 보낸 후 앞으로 공부해나갈 전공을 고르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남들보다 시간이 더 주어지는 만큼 전공 선택에 대한 책임감도 듭니다.신설된 학부인 만큼 자유전공계열 학생들의 수강 신청 관련 공지가 잘 전달되지 않는 등 행정적으로 미흡한 부분
-
대학 생글이 통신
자유전공학부의 장단점, 잘 파악해야
자유전공학부(자전)는 1학년 때 여러 전공에 대해 탐색한 후 2학년부터 전공을 정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대개 자전 학생들은 복수전공이나 학생설계전공을 많이 합니다. 이 학부에 지원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는 학생들이 있을 것입니다. 관련해서 제가 왜 자유전공학부를 지원하지 않았는지, 대학에 와서 느낀 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하고자 합니다.저는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자유전공학부를 정말 가고 싶었습니다. 전공을 고등학교 때 결정하기에는 정보가 너무 없었고, 제 자신에 대해 아는 바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학교 선생님들은 그런 이유로 자전에 지원했다고 이야기하면 분명히 떨어질 것이라고 충고하셨습니다. 확고한 목표와 꿈이 있고, 그것과 자전이 관련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이었죠.당시 저는 자전은 복수전공이 가장 특징적인 학부라고 생각했고, 사회과학에 흥미가 있었습니다. 자전에 들어가서 무엇을 복수전공하고 싶은지를 자기소개서에 쓰기 위해 저는 사회과학대학에 있는 모든 전공을 간단히 공부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러던 중 경제학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자전에 가서도 어차피 저는 경제를 전공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 무렵, 자전이 새로 생긴 학부라서 선배들도 뚜렷하게 없어 동문 힘이 약하고, 학생들이 다른 과로 뿔뿔이 흩어져 좋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대학에서 공부만큼 중요한 것이 사람이라고 생각했던 저는 지금 자유전공학부가 아닌 경제학부에 와 있습니다.자전을 선택하는 것은 일장일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 와서 보니, 경제를 전공하는 자전생이 경제 주전공생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기 힘들다는 느낌이 들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