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청소년 경제이해력, 50점대 그친 이유는?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경제 이해력이 2년 전보다 퇴보한 데다, 중고교생은 100점 만점에 50을 겨우 넘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정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학생(3학년)의 평균 경제 이해력 점수는 51.9점, 고등학생(2학년)은 51.7점으로 각각 2년 전보다 6.1점과 5.3점씩 떨어졌습니다. 이 점수는 각종 경제 원리와 개념, 경제 상식과 관련한 문제의 정답률을 뜻하는데요, 정답을 맞힌 학생이 절반밖에 안 된다는 얘기입니다.정부는 이에 대해 학교가 제공하는 경제 교육 시간이 부족할 뿐 아니라 입시 위주 교육의 폐해가 겹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어렵게 느껴지는 경제 과목이 대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수능 사회탐구 중 ‘경제’ 과목을 선택한 학생의 비율도 1%대(2025학년도 1.5%, 7353명)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학생들의 경제 이해력이 좋아질 리 없지요.청소년의 경제 이해력이 낮은 나라의 미래는 어둡습니다. 올바른 경제관념을 가진 청소년이 미래의 주역으로 자라나야 나라 경제도 더욱 발전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 차원의 풍요로운 삶의 질도 유지할 수 있지요. 관건은 경제 교육이라는 지적이 많은데, 눈에 띄게 개선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미국·일본·싱가포르 등 선진 각국은 청소년 경제 교육을 어떻게 시키는지, 우리의 청소년 경제 교육 실태는 어떤지, 경제 이해력이 왜 그렇게 중요한지 4·5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선진국은 경제교육을 국가 과제로 삼는데 한국은 이론 주입식 교육에만 머물러우리나라 청소년의 경제 이해력은 선진국보다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앞서 대학 입시에 올인하는 문제를 언급했지만, 기본적

  • 운동을 해 봐요!

    77호 주니어 생글생글은 ‘운동’을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운동은 신체를 단련시키는 것은 물론 스트레스를 가라앉히고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는 데도 효과가 있다. 바쁘게 생활하는 요즘 학생들이 간단한 운동이라도 하는 습관을 들여 보기를 권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인도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킨 비제이 셰카르 샤르마 페이티엠 창업자를 소개했다.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프로야구의 열기를 체험하고 야구선수와 인터뷰도 한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의 얘기도 담았다.

  • 때로는 파트너, 때로는 라이벌

    76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기업의 협력과 경쟁이다. 비즈니스 세계에선 치열하게 경쟁하던 기업들이 협력 관계를 맺기도 하고, 협력했던 기업들이 라이벌이 되기도 한다. 애플 삼성전자 넷플릭스 등 글로벌 기업들이 어떻게 협력과 경쟁 사이를 오갔는지를 살펴봤다. 내 꿈은 기업가엔 유튜브를 창업한 스티브 첸의 얘기를 담았다. 주니어를 위한 7과 3의 예술에선 실크 스크린 기법을 활용해 공장에서 물건을 대량 생산하듯이 미술 작품을 복제한 앤디 워홀을 소개했다.

  • 신나는 여름방학

    주니어 생글생글 73호는 여름방학 특별호로 꾸몄다. 학기 중 부족했던 공부와 소홀히 했던 독서, 운동, 취미생활 등 여름방학 때 할 일을 스스로 적어 보고 계획해 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하루하루 소소한 미션을 실천해 나가는 ‘to do list’도 작성할 수 있다. 옛날에도 방학이란 것이 있었는지, 미국 유럽 등 다른 나라의 방학은 어떤지도 살펴봤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대형 은행 수장이 된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최고경영자를 소개했다.

  • 재미있는 선박의 세계

    주니어 생글생글 71호는 커버스토리에서 세계 1위 한국 조선업에 대해 얘기했다. LNG선, 유조선, 벌크선, 컨테이너선 등 다양한 화물선의 종류와 특징, 생김새를 살펴보고 한국이 조선업 세계 1위에 오른 과정도 알아봤다. 내 꿈은 기업가의 주인공은 방위산업 기초를 닦은 고(故) 김종희 한화그룹 창업자다. 논란이 되고 있는 서울 초·중·고교 기초학력 진단검사 결과 공개에 대한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의 의견도 들어봤다.

  • 이솝 이야기로 배우는 경제

    주니어 생글생글 69호는 이솝 이야기 속 경제 원리를 커버 스토리로 다뤘다. 초등학생에게도 익숙한 동물들의 우화를 통해 효용, 비용, 기회비용 등 기본적인 경제 개념을 설명했다. 내 꿈은 기업가의 주인공은 데라오 겐 발뮤다 창업자다.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가전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온 데라오 창업자의 삶을 돌아봤다.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은 LG아트센터 서울에서 클래식 공연을 관람하고 서커스 놀이터를 체험한 뒤 생생한 후기를 전했다.

  • 편의점 속 '마케팅 비밀'을 찾아서

    주니어 생글생글 67호 커버 스토리는 편의점을 주제로 다뤘다.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편의점의 모습을 지면에 펼쳐 놓고 진열대와 냉장고 곳곳에 숨은 마케팅 요소를 분석했다. 작은 편의점에도 경제 원리가 담겨 있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이양구 오리온 창업자의 삶을 소개했다.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은 ‘나의 베프’를 소개하는 글과 사진을 보내왔다.

  • 사고 팔고 빌리는 부동산

    주니어 생글생글 66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부동산이다. 주택 매매, 전세, 월세의 개념부터 시작해 수요·공급과 시중 통화량, 금리, 세제 등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면을 꾸몄다. 깡통 전세, 역전세, 전세 사기 등 최근 부동산 시장의 키워드도 설명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베트남의 삼성’으로 불리는 빈그룹 창업자 팜녓브엉 회장의 이야기를 실었다.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인터뷰 기사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