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
생글기자
학교 단위의 마약 유해성 교육 절실하다
최근 지구촌에 큰 파장을 몰고 온 몇 장의 사진이 있다. 일반인은 물론, 청소년 심지어 임신부까지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에 취해 있는 미국 필라델피아의 ‘좀비 거리’ 사진이다. 마약이 사람과 도시를 황폐하게 만든 충격적 모습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청소년을 목표로 삼아 마약을 섞은 음료수를 학원가에 배포한 사건이 발생해 한국도 이젠 마약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줬다. 마약 청정국 입지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검찰청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마약사범은 최근 급격히 늘고 있다. 마약사범의 60% 가까이는 20세~39세이지만, 19세 미만 청소년 마약사범이 폭증하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19세 이하 마악류 사범은 2017년 119명에서 2021년 450명으로 거의 네배 늘었다. 올들어 5월까지는 이 숫자가 이미 450명을 넘겼다. 마약 가격이 저렴해진 데다, 다크웹·텔레그램처럼 거래 추적이 어려운 메신저로 유통되고, 마약 대금을 추적하기 힘든 코인으로 거래하기 때문에 청소년층으로도 파고든 것이다. 청소년 마약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마약사범 단속은 물론, 학교별로 마약의 유해성에 대한 교육을 본격화해야 한다. 청소년은 특히 중독성 강한 마약의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한 채 단순 호기심으로, 또는 ‘딱 한 번인데 어때’라는 생각으로 쉽게 마약에 접근할 수 있다. 여러 지방자치단체는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마약범죄 예방을 위한 공모전을 열고 있는 점을 교육 당국이 주목했으면 한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마약 유해성 교육이 시급하다. 윤상규 생글기자 (양정중 3학년)
-
생글기자
'마약 청정국'은 옛말, 점점 심각해지는 마약 범죄
우리나라는 과거 ‘마약 청정국’이었다. 마약 범죄는 외신 기사나 영화에서나 볼 법한 얘기였다. 그러나 최근 유명 연예인과 재벌가 자녀가 마약 투여 혐의로 구속되는 등 마약 관련 범죄가 눈에 띄게 늘었다.마약 청정국이란 인구 10만 명당 마약 사범이 20명 이하인 나라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2016년 이 수치가 25.2명으로 늘어 마약 청정국 지위를 잃었다. 이후 마약 사범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작년 1월부터 10월까지 적발된 마약 사범은 1만5182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3% 늘었다. 밀매 과정에서 관세청이 압수한 마약류는 2021년 1272㎏으로 2017년의 18배에 달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마약 사범 단속 강화를 지시하기에 이르렀다.마약 사범의 연령도 낮아지는 추세다. 2017년 2112명이던 20대 마약 사범이 2021년에는 5077명으로 4년 만에 2.4배가 됐다. 미성년자 마약 사범도 4배 가까이 늘었다. 텔레그램 다크웹 등이 젊은 층이 마약에 접근하는 통로가 되고 있다. 인터넷과 SNS가 마약 거래에 이용되는 것이다. 또 마약 가격이 낮아지면서 10~20대가 마약을 접하기가 더 쉬워졌다.전문가들은 마약 중독자에 대한 치료와 재활 시스템도 취약하다고 지적한다. 점점 심각해지는 마약 문제를 해결하려면 마약 범죄에 대한 단속과 처벌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치료 및 재활 시설도 확대해야 한다.천동규 생글기자 (신도고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