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
커버스토리
대북 제재 속 남북 경제협력 어떻게 하나
주춤하던 남북한 경제협력 논의가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통일경제특구와 동아시아철도공동체를 언급하면서 남북 경협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9월로 예정된 3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경제협력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북한의 비핵화가 선행되지 않으면 실질적인 남북 경제협력은 성사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남북 간 경제공동체를 이루는 것이 진정한 광복”라며 ‘평화가 경제’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평화가 정착되면 경기와 강원 접경지역에 통일경제특구를 설치할 것”이라며 북한을 향해 장밋빛 전망을 제시했다. 북한을 포함한 동아시아 6개국(한국 북한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과 미국이 함께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라는 깜짝 카드도 내밀었다. 전문가들은 지지부진한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끌어내기 위해 ‘당근’을 꺼내들었다고 평가했다. 세계의 이목을 끈 6·12 미·북 정상회담 이후 이렇다 할 진전을 보이지 않자 문 대통령이 특단의 조치를 내린 것이란 분석이다.하지만 남북 경협이 구상대로 추진될지는 미지수다. 북한은 핵실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등으로 유엔과 미국으로부터 원자재 수출 금지, 금융 제재, 원유 수입 제한 등 온갖 경제제재를 받고 있다. 대부분의 남북 경협 또한 이런 제재가 풀려야 가능하다. 북한의 비핵화가 전제되지 않으면 남북 경협이라는 장밋빛 제안이 자칫 공허한 메아리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남북 경협의 실효성과 걸림돌 등을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박재원 한국경제신문
-
커버스토리
남북한·북미 정상회담은 北의 완전 비핵화가 최종 목표여야
오는 27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열릴 남북한 정상회담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의지를 판단하는 잣대가 될 수 있어서다. 이번 회담에서 북한이 완전한 핵 폐기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메시지를 확실하게 던진다면 그동안 복잡하게 얽혀있던 북핵 문제의 실타래가 풀릴 수 있다. 반대로 이견을 좁히지 못할 경우 이전보다 훨씬 큰 위기를 겪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북한 핵을 놓고 연쇄적으로 이뤄지는 중국과 북한, 남북한, 미국과 북한 간 정상회담의 최종 목표가 북한 핵의 완전 폐기로 매듭지어져야 정상회담의 진정한 의미가 있다는 얘기다. 자칫 북한이 그동안 즐겨 쓴 핵 동결이나 단계적 해법 등에 말리면 결국 또 북한에 핵이나 미사일 개발의 시간을 주고, 궁극적으로 현재보다 북핵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위기 수준이 더 높아질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1960년대부터 핵 개발한 북한많은 사람이 북한의 핵 개발 시점을 1980년대 후반으로 착각하고 있다. 당시 옛 소련이 붕괴됐기 때문이다. 사실 북핵의 핵 개발 역사는 한참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북한 ‘김씨 왕조’의 1대인 김일성은 1950년대 중반부터 물리학 엘리트를 양성했다. 옛 소련에 핵 연구를 목적으로 예비 과학자 상당수를 유학보냈다. 1955년 4월 원자 및 핵물리학 연구소를 만들었고, 1956년에는 옛 소련과 핵연구 협정, 원자력 협정을 잇따라 체결했다.1960년대는 자체 핵 개발을 본격화한 시기다. 김일성은 “남조선에서 미국을 몰아내야 하는 건 당위다. 미국은 그동안 한 번도 본토 침략을 당해보지 않았다. 언젠간 미국과 일전을 벌인다는 각오를 다지고 하루 빨리 핵무
-
커버스토리
'단계적 비핵화'는 북한에 또 핵개발 시간만 벌어줄 가능성 커
北, 이번에도 시간벌기용 협상 의구심김정은은 지난달 25~28일 중국 방문에서 비핵화 해법과 관련해 “단계적 조치”를 언급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오는 5월 중 개최될 정상회담을 앞두고 자신의 비핵화 로드맵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미국이 요구하는 ‘선 핵폐기-후 보상’ 방침과는 거리가 멀다. 북한이 이번에도 과거 비핵화 협상에서 보여온 특유의 ‘살라미 전술’(하나의 협상을 여러 협상으로 쪼개는 외교 전략)을 반복하며 시간만 벌려는 전략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북·미 간 비핵화 협상은 1993년 6월 북한이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탈퇴를 계기로 열린 고위급 회담에서 처음 시작됐다. 이 회담으로 북한은 NPT 탈퇴를 유보했고 핵사찰 수용에 합의했다. 그러나 1994년 북한이 다시 NPT 탈퇴를 선언했다. 그해 6월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으로 북·미 대화가 재개되면서 북한 핵 동결과 경수로 제공을 골자로 하는 제네바 합의가 성사됐지만 부시 대통령 집권 이후 북·미 관계는 경색됐다. 북한은 2002년 고농축 우라늄 핵개발을 시인했고, 이듬해 1월엔 또다시 NPT 탈퇴를 선언했다. 북·미 제네바 합의도 휴짓조각이 됐다.이후 북·미 대화는 다자 대화인 6자회담으로 확대돼 풀리는 듯했다. 2005년 7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고 그 대가로 체제 안전 보장을 골자로 하는 ‘9·19 성명’에 합의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북은 핵을 포기하지 않았다. 미국은 북한과 거래하는 은행을 제재하고, 북한은 대포동 2호 발사와 핵실험으로 맞서면서 북·미 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았다.미국의 부시 행정부도 북한과 대화를 시도했다. 북&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