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항공사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코로나19로 멈춰선 위기의 항공산업…일괄지원이 맞을까 선별지원이 맞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항공산업의 위기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장 타격이 심한 것이 석유와 더불어 항공산업입니다. ‘이렇게 가다 가는 항공사 절반이 망한다’ 국제항공운송연합이 지난 3월 이렇게 경고성 예측을 내놨습니다. 비행기들이 다 멈춰 섰으니 오죽하겠습니까?4월 세계 항공편수 80% 줄어먼저 비행편수가 얼마나 줄었는지를 살펴보죠. 세계 상업항공편수인데요. flightradar24라는 사이트가 보여주는 항공편수의 상황<그래픽>을 보면 2019년 3월 한 주 동안의 항공트래픽 상황이 2020년 3월 한 주의 상황 그림보다 훨씬 짙죠. 2016년부터 상업 항공편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통계를 보면 해가 지날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여왔습니다. 당연히 그랬겠죠.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얼마나 많이 가게 됐습니까. 그런데 4월을 비교해 보면 2019년 12만에서 2020년 2만6000으로 떨어집니다. 80%가 사라진 거죠. 그야말로 곤두박질치게 된 겁니다.당연히 수입도 사라지요. 항공운수협회의 추정에 따르면 2020년은 3140억달러, 원화로 380조원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9년에 비해서 55% 줄어든 숫자입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닙니다. 한국교통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3월 한국의 국제항공여객 수는 전년 동기에 비해서 91.5% 줄었습니다. 기획재정부도 자료를 발표했는데요. 4월 둘째 주 기준으로 대한항공의 경우 전체 125개 노선 중 93개 노선이 멈췄고 29개 노선은 운항 횟수를 줄였습니다. 국제선 운항률은 14.8%에 머물렀다, 인천국제공항의 지상조업사와 면세점도 지난해보다 매출이 각각 80%쯤 감소했다고 합니다.수입은 거의 사라졌는데 돈 들어가는 일은 여전히 많습니다. 항공은 고정비용이 큰 산업입니
-
커버스토리
힘 세진 저비용 항공사… 이젠 공무원도 탄다
올 하반기부터 공무원이 해외 출장을 갈 때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외에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같은 저비용항공사(LCC)는 물론 미국 중동 등 외국 항공사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가 지난 14일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두 국적 항공사와 별도 계약을 맺어 운영해오던 정부항공운송의뢰제도(GTR)를 폐지하기로 했기 때문이다.GTR은 공무원이 해외 출장 때 국적기 이용을 의무화하는 제도다. 대한항공은 1980년 9월부터, 아시아나항공은 1990년 8월부터 공무원에게 항공편을 제공해왔다. 이 제도는 공무원들이 갑자기 해외 출장을 가야 할 때라도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고, 취소 또는 변경 수수료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운임은 다른 항공권보다 비싸 논란이 돼왔다. 정부는 공무원들의 마일리지가 소진되는 10월 말께 두 항공사와 GTR 계약을 해지하고, 대신 주거래 여행사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민간기업과 마찬가지로 공개입찰 방식으로 주거래 여행사를 선정해 시장가격으로 항공권을 구매하겠다는 얘기다.GTR 폐지는 특정 항공사에 특혜를 주는 것이 아니냐는 일각의 오랜 눈총에다 최근의 소위 ‘갑질 논란’과도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LCC 등장 이후 항공시장이 다변화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LCC를 이용해 국내 및 해외여행을 가는 이용자가 급증하고, 장거리 노선이 속속 개설되는 등 LCC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GTR 폐지 결정과 관련한 여러 이슈와 항공업계에 미치는 파장 등을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김보형 한국경제신문 산업부 기자 kph21c@hankyung.com
-
커버스토리
무리한 스케줄에 안전 우려도… 이용객 늘면서 불만도 커져
직장인 박모씨(41)는 지난해 일본 후쿠오카로 휴가를 가기 위해 저비용항공사(LCC) 항공편을 예약했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 애당초 오전 비행기를 예약했는데 출발 한 달 전 갑자기 해당 편이 없어진 뒤 ‘오후 비행기로 재배정됐다’는 문자를 받은 것이다. 박씨가 항의하자 항공사는 “국토교통부의 운항 스케줄 인가 변경으로 기존 항공편이 취소됐다. 불가항력적 사유여서 보상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국토부는 여름과 겨울 1년에 두 차례 한꺼번에 항공편 운항 인가를 낸다. 사전에 통보하기 때문에 국토부가 해당 항공편의 인가를 갑자기 취소했을 리 없었다. 이를 확인한 박씨가 재차 항의하자 항공사는 뒤늦게 “예매율이 낮아 자체적으로 스케줄을 조정했다”고 시인하며 보상해 주겠다고 했다.서비스 불만에 안전 우려까지국내 LCC가 급성장하고 있지만 무리한 취항 스케줄과 잦은 일정 변경, 부실한 수하물 취급 등 소비자 피해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항공 관련 피해구제 건수가 담긴 ‘2017년 항공교통서비스 보고서’(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FSC)보다 LCC에 대한 피해 접수가 훨씬 많았다. 항공사 이용자 100만 명당 피해접수 건수를 보면 에어서울(45.1건)과 제주항공(12.7건)이 최다였다. 티웨이항공(10.1건)과 이스타항공(7.4건)이 뒤를 이었다. 대한항공(5.2건) 아시아나항공(5.6건) 등의 피해 건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LCC에 대한 피해접수 건수는 총 354건이었다. 이 가운데 항공권 구매 취소 때 위약금 과다청구, 환급 거부 등이 231건(65.2%)으로 가장 많았다. 지연·결항 피해가 45건(12.7%), 위탁수하
-
커버스토리
저비용항공사 노선 12개국으로 확대… 한 해 2030만명 이용
정부가 38년 만에 ‘정부항공운송의뢰제도(GTR·government transportation request)’를 폐지키로 하면서 항공업계에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공무원 출장 티켓 판매가 줄어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FSC)는 연간 수백억원대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다. 반면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저비용항공사(LCC)는 FSC의 공무원 출장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저비용항공사들은 GTR 폐지를 계기로 신규 노선 확대 등 공격적인 경영에 나설 방침이다.취소 수수료 없지만 가격 비싸GTR은 공무원들이 해외 출장을 갈 때 국적기를 이용하게 한 공무원 전용 티켓이다. 국내 항공산업을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도입됐다. 정부는 1980년 대한항공과 처음 계약했고, 1990년엔 아시아나항공과 계약했다. 판매 실적은 대한항공이 압도적으로 많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2010~2014년 대한항공의 GTR 항공권 판매액은 주요 10대 노선을 기준으로 1797억원, 이용 공무원은 21만2574명으로 집계됐다. 아시아나항공의 판매액은 425억원, 이용 공무원은 총 3만6056명으로 집계됐다. 두 항공사를 합쳐 한 해 공무원 5만여 명이 국적기를 이용해 해외 출장을 다녀오는 셈이다. GTR 계약은 정부나 항공사가 해지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3년 단위로 자동 연장된다.GTR은 급한 출장 때 좌석을 쉽게 확보할 수 있고, 변경·취소 수수료를 면제받는다는 게 장점이다. 공무 출장의 경우 방문 대상국 사정 등에 따라 일정이 수시로 바뀌는 만큼 GTR 항공권으로 이 같은 어려움을 해소해 왔다. 하지만 GTR 항공권은 가격이 비싸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 끊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