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
생글기자
언택트(untact)시대, 제조업을 살리기 위한 노력
2020년, 전 세계는 코로나19로 인한 유례없는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다. 마스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으며 언택트(untact), ‘비접촉, 비대면’이라는 뜻을 가진 신조어를 파급시킬 만큼 우리 생활 전반에 코로나19가 미치는 영향은 거대하다.코로나19로 인해 한국뿐 아니라 많은 나라에서 비대면 산업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반면 전통적인 핵심 산업이자 산업 간 파급효과 측면에서 버팀목 역할을 하는 제조업은 침체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국내 제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은 수요와 수출 감소, 그리고 결정적으로 수출길이 차단됨으로써 전례없는 난관에 부딪힌 상황이다. 제조업을 부흥시키기 위한 해결책이 필요한 현 시국에서, 전문가들은 제조업 또한 비대면 산업의 흐름에 맞춰 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협동로봇의 도입과 공장 자동화 설비 구축을 통해 제조업계 또한 언택트 시대의 흐름에 맞춰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이다.협동 로봇은 코로나19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 흐름에도 걸맞은 변화다. 협동 로봇을 도입하면 제조업계 현장 내 대부분의 일은 로봇이 맡고, 현장에는 협동 로봇을 관리하는 소수의 인원만 남게 된다. 기업으로서는 제조업 현장을 비대면 분위기로 조성함으로써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기여하는 동시에 프로그래밍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공장 자동화 설비 구축은 협동 로봇과 마찬가지로 비대면 분위기로의 제조업계 변화에 꼭 필요하다. 하지만 공장 자동화 설비 구축에는 초기 비용이 많이 투입돼야 하는데 이는 국내 제조업계의 근간인 중소기업에는 어려운 문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지원하는 정
-
경제 기타
코로나에 닫혔던 미국, 78일 만에 경제활동 재개
미국 뉴욕시가 지난 8일 건설과 제조업, 농업 등의 경제활동을 재개하는 ‘1단계 경제 정상화’에 들어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비(非)필수 사업장의 셧다운을 시작한 지 78일 만으로 이날 벤처·기술기업들이 상장된 증권시장 나스닥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뉴욕시민들이 한 은행 지점에 들어가기 위해 마스크를 쓴 채 기다리고 있다.AP연합뉴스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미국이 '홍콩 특별지위'를 취소하면…
안녕하세요? 오늘은 홍콩사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시진핑과 중국 공산당에 홍콩은 목의 가시 같은 존재입니다. 홍콩 시위대는 중국 공산당의 지배를 거부하는 것을 넘어 독립을 요구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중국 입장에서 보면 시위를 방치하다가는 ‘하나의 중국’ 원칙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이미 독립국 같은 행보를 보이고 있는 대만이 진짜 중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할지도 모릅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벳 자치구 등 무력으로 눌러 놓고 있는 식민지들이 독립 투쟁에 나설 수도 있습니다. 중국은 내심 홍콩인들의 시위를 당장 무력을 써서라도 진압하고 싶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럴 수가 없습니다. 후폭풍이 너무 거셀 것이기 때문입니다.중국 성장하면서 홍콩의 경제적 비중 작아져이 문제를 이해하려면 홍콩과 중국의 경제적 관계가 어떤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1997년 중국에 반환될 당시 홍콩의 국내총생산(GDP)은 177억달러로, 962억달러인 중국의 17.0%였습니다. 작은 섬에 불과한 홍콩이 경제적으로는 중국 전체의 6분의 1에 해당했습니다. 20년 새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2018년 현재 홍콩의 GDP는 3630억달러로서 13조6080억달러인 중국의 2.7%에 불과합니다. 중국이 엄청나게 성장한 결과죠.홍콩을 중국의 도시들과 비교하면 이런 상황이 실감납니다. 2017년 중국의 도시별 지역총생산을 살펴보면 상하이가 4500억달러로 1위, 2위인 베이징이 4100억달러, 3위 선전이 3400억달러입니다. 홍콩은 3300억달러로 4위입니다. 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던 당시에는 당연히 홍콩이 압도적 1위였겠죠.그래도 무역에서는 홍콩이 아직도 꽤 중요합니다. 2018년 중국의 전체 수출 중에서 홍콩에 대한 수출
-
시네마노믹스
거대노조-마피아-정치권력 '어둠의 삼각관계'
“자네, 페인트칠을 좀 한다면서….”프랭크 시런(로버트 드니로 분)은 아일랜드 이민자 출신 트럭 운전사다. 어느 날 우연히 마피아 두목인 러셀 버팔리노(조 페시 분)를 만나면서 평범한 운전사에서 ‘버팔리노 패밀리’의 행동대장으로 변신한다.프랭크는 버팔리노의 소개로 당시 미국 최대 노조이던 국제트럭운전사조합(IBT)의 위원장 지미 호파(알 파치노 분)와 알게 된다. 호파가 대뜸 “자네, 페인트칠을 좀 한다면서”라고 묻자, 프랭크는 “네, 목공일도 좀 합니다”라고 대답한다. 페인트칠은 피로 벽을 칠한다는 뜻에서 마피아 세계에서 ‘킬러’의 은유적 표현이고, 목공일은 시체 처리를 의미한다. 살인청부는 물론, 뒤처리까지 가능하다는 프랭크의 대답에 만족한 호파는 그를 시카고로 데려오고, 그렇게 프랭크는 약 20년 동안 마피아 총잡이이자 노동조합의 간부로 활약한다.미국 갱스터 누아르계의 대부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아이리시맨’은 프랭크를 통해 1950~1960년대 미국의 부패한 거대 노동조합 문제를 3시간 반의 러닝타임에 걸쳐 그려낸다.마피아의 독점 경제학영화 속 버팔리노 패밀리는 세탁업부터 대부업, 부동산개발업까지 그야말로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보여준다. 권력과의 결탁은 필수조건이다. 마피아식 사업 확장은 거침이 없다. 경영 원칙은 단순하다. 인위적으로 독점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세탁업을 차려서 덤핑 수준의 가격으로 지역 일감을 쓸어가자, 위기에 몰린 경쟁업체가 청부업자를 고용해 영업을 방해하려는 장면이 나온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마피아는 프랭크를 시켜 경쟁사 사장을 암살한다.독점은 자연 독점과 인위
-
경제 기타
주요국들, 친기업적인 환경 조성해 '제조업 키우기' 나서
미국 남부 텍사스주 휴스턴부터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까지 멕시코만을 따라 이어지는 340마일(약 550㎞) 구간. 이 길을 따라가면 수많은 공장 굴뚝을 볼 수 있다. 굴뚝만큼이나 많은 건 공사 현장이다. 2010년 이후 지어졌거나 공사 중인 대규모 석유화학 공장만 20여 개에 달한다. 31억달러(약 3조6900억원)를 투입해 지난 9일 완공한 롯데케미칼의 루이지애나 레이크찰스 공장도 그중 하나다.일본 후쿠오카현 구루메시는 몇 달째 축제 분위기다. 화장품업체 시세이도가 지난 2월 400억~500억엔(약 4100억~5100억원)을 들여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공장이 완공되면 최소 1000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된다.미국과 일본, 중국, 독일 등 주요국들이 ‘제조업 키우기’ 전쟁을 벌이고 있다. 제조업 부흥에 국가 명운이 달렸다는 판단 아래 ‘기업하기 좋은 환경 만들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법인세 낮추고 규제 없앤 미국미국은 세계 제조업 중심지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중부의 일리노이주, 아이오와주 등지에서는 US스틸, 뉴코 등 금속 관련 기업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조지아주와 테네시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등에는 도요타, 폭스바겐, BMW, 삼성전자, LG전자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공장을 짓고 있다. 이달 들어서만 일본 도요타가 켄터키와 앨라배마 공장 등에 7억5000만달러 증설 투자계획을 밝혔다. 미국 화학업체 엑슨모빌은 텍사스 화학공장에 20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육가공업체 타이슨푸드와 초콜릿업체 허쉬, 제약회사 머크 등도 투자계획을 공개했다.미국 제조업이 부활한 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 덕분이다. 미국은 지난해 법인세 최고세율을 35%
-
숫자로 읽는 세상
고비용·저효율 탓에 한국 떠나는 한국 제조업체들
올 상반기 국내 제조업체가 해외 공장 설립 및 증설 등으로 해외에 투자한 금액이 역대 최대인 74억달러였다. 국내 설비투자액이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 연속 마이너스(전월 대비)인 것과 대조적이다. 법인세 인상, 인건비 상승, 노동시장의 경직성, 각종 규제 등에 따른 고비용·저효율 경제구조가 국내 제조업을 해외로 내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을 중심으로 강화되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도 국내 제조업이 해외로 나가는 요인으로 꼽힌다.해외로 떠나는 기업들수출입은행과 산업통상자원부가 3일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 상반기 국내 제조업체의 해외 직접투자액은 총 74억달러로 1980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가장 많았다. 이전까지 제조업체의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해외투자액은 2013년 47억달러였다. 작년 상반기 제조업체 해외투자액은 29억달러였는데 올 상반기에는 그보다 2.5배 이상으로 많아졌다. 올 상반기 제조업체 해외투자액은 작년 한 해 투자액(79억달러)과도 맞먹는 규모다. 제조업에 금융·서비스업 등 다른 업종까지 더한 전체 해외투자액은 올 상반기 기준 227억달러였다. 외국 기업이 국내에 투자한 금액(외국인 직접투자)은 101억9000만달러였다. 125억달러 이상이 순유출된 셈이다. 국내 기업의 해외투자액은 지난해 상반기에도 237억달러였는데 2년 연속 200억달러를 돌파했다.국내 기업들은 해외투자를 늘리는 대신 국내투자는 줄이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 2일 발표한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올 8월 설비투자는 전달에 비해 1.4% 감소했다. 3월 7.6% 감소한 이후 6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외환위기 때인 1997년 9월~1998년 6월까지 10개월 연속 감소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제조업 발목잡는 규제 많으면 국제 경쟁력 약화될 수밖에 없죠
[사설] 겹겹의 '모래주머니' 차고 달리는 한국 제조업체들의 현실세계 경제에서 비중이 큰 주요 국가들의 제조업이 모두 활황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한국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한경 보도(6월7일자 A1, 4, 5면)는 우리 산업의 현실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경의 심층 분석은 제조업 업황을 판단하는 기준인 ‘구매관리자지수(PMI)’로 진단했지만 기업가정신 고취도나 미래 일자리 창출여력 같은 다른 정성적 평가에서도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기업의 신규주문, 생산, 재고 등을 수치화한 PMI에서 한국은 이른바 ‘G20’(주요 20개국) 중 최근 외환위기설이 돌고 있는 터키를 빼고는 꼴찌다.이런 평가는 충분히 예상 가능한 것이었다. 규제는 중첩되고 신규투자 유인 요인은 사그라드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필연적 결과라고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우리 기업이 처한 가장 큰 애로는 무엇보다도 철벽같은 규제망과 불발한 노동개혁으로 인한 경직된 경영환경이라고 봐야 한다. 수도권 공장 억제와 같은 ‘입지규제’는 기업 리쇼어링(국내로 유턴)까지 막고 있다. 친(親)노조 일변도의 ‘고용규제’는 일거리 증감이 수시로 변하는 제조기업에서도 파견근무 등을 어렵게 해 근로 유연성을 가로막고 있다. 출자제한 등 ‘투자규제’도 만만찮다.이런데도 문재인 정부는 유·무형의 ‘재벌개혁’에 매달리면서 국제시장에 나서는 기업들 발목 잡기에 바쁘다. 관제(官製) 일자리 만들기에 치중하느라 좋은 일자리의 근원인 기업을 위축시키는 게 현실이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정부 압박을 의식해 지배구조 개선에 골몰하는 사이 중국의 비야디가 100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