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
생글기자
마약이 된 항생제, 사용 제한 서둘러야
항생제는 인류를 유행병의 공포로부터 벗어나게 해준 고마운 존재다. 하지만 슈퍼바이러스와 내성균의 등장으로 항생제의 효과는 예전보다 줄어들고 있다. 이는 면역력이 약화된 현대인에게 치명적이며, 끊임없이 출현할 신종 박테리아를 이겨낼 방법이 없을 것이란 비관론도 생겨나고 있다. 항생제 내성은 약물 오남용이 주된 원인이다. 많은 환자가 가벼운 감기에도 항생제 처방을 요구하는 게 문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21년 통계를 보면 대한민국 국민 1000명 중 26명이 매일 항생제를 복용하고 있다. 이는 OECD 국가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 수치이며, 항생제 내성률 또한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고 있다. 항생제 내성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내성균의 발현 빈도가 잦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항생제 사용 관련 법률을 개선해 항생제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 항생제 사용을 감염성질병 치료에 국한하고, 가축에 대한 항생제 오남용도 막아야 한다. 다음으로 진단 기술을 향상시켜야 한다. 빠른 진단 기술을 개발·보급함으로써 정확한 감염 원인을 식별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힘써야 한다. 항독소 치료나 병합 치료와 같은 치료법이 상용화된다면 환자들 역시 보다 더 나은 환경에서 치료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항생제는 의존성이 확대되며 점점 마약이 되어가고 있다. 건강한 100세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이제 행동에 나서야 할 때다. 김건희 생글기자 (낙생고 2학년)
-
과학 기타
세균과 항생제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병은 생활 방식이나 유전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지만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는 비감염성 질병이다. 반면 감염성 질병은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체(Pathogen)에 의해 나타나고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 감기, 결핵 등이 감염성 질병이다. 감염과 비감염성 질병을 구별하는 포커스(focus)는 병원체의 유무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병원체는 “병의 원인이 되는 본체”로 바이러스, 세균, 원생동물, 곰팡이, 프라이온 등이 있다.페니실린은 최초 항생제바이러스는 숙주(Host)에 의존해 살아가는 병원체이며, 핵산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바이러스의 크기는 세균보다 작다.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안에서 증식하여 세포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하며, 세포 밖으로 나올 때 숙주 세포를 파괴하여 질병을 유발한다.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감기, 독감, 천연두, AIDS 등이 있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병은 치료가 어렵고 치료 효과도 낮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세균은 단세포 원핵생물로 세균에 의한 질병은 파상풍, 식중독, 결핵 등이 있다. 원핵생물은 세포벽을 이루는 주성분인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을 갖고 있다. 또한 효소가 있어 스스로 물질 대사를 하며 하나의 독립된 세포로 숙주 없이 살아갈 수 있다.주로 결핵, 식중독 등 세균 감염이 생긴 경우 의사의 처방을 받아 약을 섭취하게 되는데 이를 ‘항생제(Antibiotics)’라 한다. 우리가 자주 먹는 마늘, 생강 등은 천연 항생제이다.항생제 내성은 국제 문제1928년 영국의 과학자 플레밍(Alexander Fleming)에 의해 발견된 ‘페니실린(Penicillin)’은 최초의 항생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