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14일 (648)

    1. 미국산 오렌지에는 국내 감귤 성수기에 한해 높은 관세가 부과된다. 이런 방식으로 부과되는 관세를 가리키는 말은? ①상계관세 ②계절관세 ③긴급관세 ④보복관세 2. 유권자의 표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선심성 정책을 쏟아내는 인기영합주의를 가리키는 말은? ①매너리즘 ②매카시즘 ③포퓰리즘 ④에어리즘 3. 몇 년 전 인기를 끈 ‘포켓몬 고’ 게임처럼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하는 증강현실 기술을 가리키는 말...

  • 숫자로 읽는 세상

    삼성, 한·일 갈등 속 日 2위 통신사와 5G 장비 공급 계약

    한·일 경제전쟁 와중에도 삼성전자가 일본 2위 통신회사 KDDI의 5G(5세대) 이동통신 장비 공급사로 선정됐다. 5G 장비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해외 출장 때마다 고객사에 직접 ‘세일즈’할 정도로 큰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다. 산업계에선 이 부회장의 활발한 현장경영 및 해외 네트워크와 삼성전자의 뛰어난 기술 경쟁력이 어우러진 결과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최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KDDI에 올해...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29)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커버스토리

    정부, 해고자·실업자 노조 가입 허용 등 노동계 요구 대폭 수용

    “세계 10위권 경제강국에 맞는 노동기본권 보장이 이뤄질 때가 됐고 국제노동기구(ILO) 협약을 비준하라는 유럽연합(EU)의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어 국회에서 비준동의안과 국내법 개정안이 동시에 처리돼야 한다.” 정부가 ILO 핵심협약에 대해 밝히고 있는 주된 이유다. 하지만 경영계에서는 노동조합의 힘만 키워줄 것이라며 반대한다. 하겠다면 노조의 파업에 대한 회사 측의 방어권도 동등하게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9...

  • 커버스토리

    인도의 지도자 간디 탄생 150주년…폭력에 '비폭력'으로 저항

    마하트마 간디(1969~1948)는 인도 현대사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정치가이자 사상가이다. 그는 ‘인도 독립의 아버지’로 불리며 국부(國父)로 존경받고 있다. 간디는 인도 분열의 원인이 영국의 식민지배만이 아니라 인도인들의 지역감정과 종교적 분쟁에도 큰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조국이라는 개념이 희미한 인도인들에게 민족의식을 불어넣기 위한 운동에 앞장섰다. 약소민족의 자결 자주권을 주장하고, 강대국들의 제국주의...

  • 커버스토리

    한국 기업 투자가 해외로 빠져 나가는 이유

    국내 기업들이 한국을 떠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의 국내 투자는 다섯 분기 연속 줄어든 반면 해외 투자는 두 분기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높은 인건비와 세금, 각종 규제 등 기업 활동을 가로막는 장벽을 피해 기업들의 ‘한국 탈출’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획재정부는 올 2분기 해외직접투자액이 150억1000만달러로 지난 1분기 기록한 사상 최고치(141억1000만달러)를 또다시 경신했다고 발표했다. ...

  • 진로 길잡이 기타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기업 취업 필기시험, 한경금융NCS시험으로 준비하자

    특성화 고교생들이 은행 등 금융기업에 취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성화 고교생들만 따로 뽑는 금융기업이 적지 않은 데다 ‘블라인드 채용’이 확대된 뒤 특성화 고교생들에게 응시 기회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특성화 고교들은 이런 추세에 맞춰 금융기업들이 앞다퉈 도입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형 필기시험’에 맞춰 수업시간을 구성하고 있다. 금융NCS 수업이다. 금융NCS는 크게 ‘직무수행능력 ...

  • 숫자로 읽는 세상

    올 상반기 출생아 수 '역대 최저'…16만 명 밑으로

    올 상반기 출생한 아이 수가 16만 명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역대 최소 기록을 새로 썼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9년 6월 인구동향’을 보면 올 1~6월 전국 출생아 수는 15만852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17만1800명) 대비 7.7% 감소한 것으로, 1981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가장 적었다. 올 2분기 출생아 수는 7만5448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줄었다. 지난 1분기 출생아...